[20대 ‘청춘의 빈곤’을 말하다] “가엾은 텐트족요? 당당한 노숙입니다”

[20대 ‘청춘의 빈곤’을 말하다] “가엾은 텐트족요? 당당한 노숙입니다”

입력 2011-12-12 00:00
업데이트 2011-12-12 0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성공회대 노숙모임 ‘꿈꾸는 슬리퍼’

서울 구로구 항동 성공회대 도서관 밑 굴다리에는 초록색 텐트 두 개가 쳐져 있다. 지난해 4월부터다. 간이침대와 선풍기형 전기난로, 보온병 등도 갖춰져 있다. 간이 살림집 수준이다. 1주일에 3~4일을 텐트에서 생활하는 홍준(사회과학부 08학번)씨는 “20대의 빈곤을 생활로 보여 주기 위해서”라고 말했다. 텐트는 성공회대 노숙 모임인 ‘꿈꾸는 슬리퍼(sleeper)’ 소속 학생들의 ‘집’이다. 다들 집이 없는 건 아니지만 1주일에 3~4일은 서너명씩 모여 텐트에서 보낸다. 학교 샤워실에서 씻고 함께 장을 봐 밥을 지어 먹는다. 가장 중요한 것은 이슈 토론이다.

이미지 확대
성공회대 노숙 모임인 ‘꿈꾸는 슬리퍼’ 소속 학생들이 교내에 설치한 텐트 앞에 모여 앉아 환하게 웃고 있다.
성공회대 노숙 모임인 ‘꿈꾸는 슬리퍼’ 소속 학생들이 교내에 설치한 텐트 앞에 모여 앉아 환하게 웃고 있다.
텐트에 대한 구상은 2년 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1시간 30분을 들여 통학을 하던 정훈(사회과학부 07학번)씨는 학교 근처에 방을 얻으려다 포기했다. 너무 비싸서였다. 방은커녕 고시원도 얻을 수 없었다. 이 같은 현실을 고민하던 정훈씨는 친구들과 텐트를 쳤다. 그렇게 ‘텐트족’이 됐다. 그러나 노숙을 하는 ‘가엾은’ 대학생이라는 시선은 단호히 거부한다. 성인임에도 ‘내 방’ 한 칸 갖지 못하는 20대의 빈곤을 보여 주려는 일종의 퍼포먼스이기 때문이다.

강윤(사회과학부 06학번)씨는 “정치인이나 지식인들이 간헐적으로 반값등록금, 대학가 전세난 등 20대의 문제를 말해 왔지만 그들은 이미 사회적으로 성공한 기성세대일 뿐 20대 당사자는 아니다.”라고 냉정하게 말했다. 힘겹게 아르바이트를 해도 돈이 모이지 않고, 졸업해도 비정규직을 전전해야 하는 20대가 마주치는 구조적인 문제는 결코 기성세대의 동정이나 연민으로는 해결되지 않는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즉 20대가 스스로 20대의 쟁점을 이야기해야 해결될 수 있다는 것이다. 소통 수단의 하나가 ‘항동아트쎈타’라는 행사다. 매주 수요일마다 ‘밥’ ‘알바’ ‘학점’ 등의 주제를 놓고 학생들에게 자유롭게 그림을 그리게 하고 있다. ‘너무 배가 고픈데 삼각김밥 2개’, ‘당신이 어떻게 내 성적을 매겨’ 등과 같은 학생들의 한탄과 항변 등이 그림에서 가감 없이 드러나고 있다. 나아가 다양한 세대 및 지역 주민과의 교류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글 사진 김소라기자 sora@seoul.co.kr



2011-12-12 10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