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8 고교 역사교과서 반영…지역민 노력 결실

5.18 고교 역사교과서 반영…지역민 노력 결실

입력 2011-12-16 00:00
업데이트 2011-12-16 11:4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강운태 광주시장 등 지역인사, 시민 각고 노력

5.18 민주화운동이 우여곡절 끝에 고등학교 역사교과서 집필기준 시안에 포함되기로 16일 결정된 데에는 강운태 광주시장 등 지역인사와 시민의 각고한 노력이 한몫을 했다.

5.18 민주화운동의 역사교과서 집필기준 논란이 불거진 것은 지난 11월 9일.

교육과학기술부가 5.18을 중학교 역사교과서 집필기준에서 삭제하기로 하자, 지역에서는 즉각적으로 반발 여론이 일었다.

강 시장은 교과부의 발표 다음날인 10일 윤봉근 시의회 의장과 장휘국 시교육감에게 공동기자회견을 제안해 교과부의 역사교과서 집필기준 철회와 5·18 정신에 대한 올바른 역사인식을 촉구했다.

강 시장은 이어 13일에 지역 80여개 시민사회단체에 연석회의를 제의해 발족시키는 등 뚝심으로 밀어붙였다.

또한 강 시장은 김황식 국무총리와 임태희 대통령 비서실장, 이주호 교과부장관, 민주당 손학규 대표 등을 면담해 역사교과서 집필기준 수정을 요구했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통해 정부 태도를 강력히 규탄했다.

광주시는 특히 5.18민주화운동의 역사교과서 집필기준 포함을 촉구하는 ‘온라인 서명 운동’을 전개해 5천여명의 누리꾼들이 동참하는 등 여론이 들끓었다.

이에 교과부는 같은 달 18일 5.18 민주화운동 내용을 교과서에 포함하라는 공문을 각 출판사에 보내기도 하는 등 일정 정도 성과를 거뒀다.

연석회의 참여단체는 80여개에서 200여개 단체로 늘었고 22일엔 국회에서 여야 정당대표들을 초청해 5.18의 역사교과서 반영에 대한 당의 공식 입장을 듣는 등 정부와 정치권을 압박했다.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 소속 김영진 의원도 이태진 국사편찬위원장을 만나 집필기준 삭제 반대를 요구하는 등 발벗고 나섰다.

5.18이 고등학교 집필 기준에서도 삭제될 것을 우려해서였다.

결국 민주화운동과 역사 정체성 확립을 요구하는 지역여론이 반영돼 5.18 민주화운동이 고등학교 역사교과서 집필기준 시안에 포함된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강 시장은 16일 “정부가 역사교과서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게 돼 다행이고 역사정체성 확립해 동참해준 모든 시민사회단체와 시민에게 감사하다”며 “5.18이 국내 뿐만 아니라 세계민주화 운동사에 길이 남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