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end inside] “콜라·팝콘은 라지세요?”… 물건 존대하는 세태

[Weekend inside] “콜라·팝콘은 라지세요?”… 물건 존대하는 세태

입력 2011-12-24 00:00
업데이트 2011-12-24 00: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비스 업종서 학교·가정으로…과도한 존댓말 범람

“콜라랑 팝콘은 라지(Large)세요?”

이미지 확대
서울의 한 고교에서 국어를 가르치는 김진명(32) 교사는 최근 영화를 보러 갔다가 매점 점원의 말에 당황했다. 점원이 쓰는 과도한 존댓말 탓이다. 직업을 속일 수 없었던 김 교사는 점원에게 “팝콘, 콜라는 물건이니까 존댓말 붙이지 않는 게 맞아요.”라고 기분 상하지 않게 알려줬지만 점원은 웃기만 했다. 잠시 뒤 점원은 한술 더 떠 “9000원이세요. 계산 도와드리겠습니다.”라고 했다. 김 교사는 “사람을 존대하는 게 아니라 물건을 존대하는 상황인데 말하는 사람은 아무런 문제를 느끼지 못하고 있었다.”면서 “생각 없이 습관처럼 내뱉는 말들이 심각한 수준”이라고 지적했다.

말은 우리말이지만 어법에도 맞지 않는 존댓말이 곳곳에 범람하고 있다. 물건이나 시간에 존칭을 붙이는 일이 당연시될 정도다. 특히 대형 프랜차이즈 업체나 할인점, TV홈쇼핑 등에서는 오히려 잘못된 표현을 장려하는 경우도 있다.

이 때문에 일선 학교에서 말하기 교육은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23일 국립국어원과 전국국어교사모임 등에 따르면 최근 몇 년 새 ‘물건 존칭 현상’이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다. 국어원 측은 “존댓말은 기본적으로 지칭하는 인물 또는 이야기를 하는 상대를 높이는 표현으로만 사용되는 것”이라면서 “그런데 대화하는 상대방에게 건네는 모든 말에 주어와 상관없이 존대를 의미하는 ‘-시-’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는 것이 문제”라고 밝혔다. 이어 “얼마 전까지 일부 서비스 업종에서만 나타나던 현상이 최근에는 학교나 가정, 일반 회사로 번지고 있는 추세”라고 말했다.

일선 교사들도 문제의 심각성을 일찌감치 알고 있다. 서울 강남의 한 중학교 교사는 “우리 반 학생이 꽃을 가져와서는 ‘선생님, 꽃이 참 예쁘셔서 가져왔어요’라고 하더라.”면서 “상위권 학생인데도 자신의 말이 뭐가 잘못됐는지 쉽게 깨닫지 못했다.”고 허탈해했다. 국어교사모임 측은 “프랜차이즈와 대형 유통점, 홈쇼핑 등이 활발하게 도입되기 시작한 10년 전부터 나타난 현상”이라고 파악했다.

학계에서는 올바른 표현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는 것이 사태의 핵심이라고 규정했다. ‘맞는 표현’보다는 ‘상대가 듣기 좋은 표현’에 초점을 맞추는 편의주의가 원인이라는 것이다. 연세대 국문과의 한 교수는 “대형 프랜차이즈의 신입사원 교육에 초빙을 받아서 갔는데, 고객과 관련된 모든 말에 존댓말을 사용하라고 가르치고 있었다.”면서 “강사가 ‘존댓말을 과도하게 듣는다고 기분 나빠 하는 사람은 없다’고까지 했다.”고 전했다. 또 누구나 볼 수 있는 TV홈쇼핑에서조차 “시간이 얼마 안 남으셨습니다.”, “상품이 몇 개 안 남으셨습니다.”라는 습관적인 표현이 사용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언어 습관이 이미 개인에 대한 교육이나 일부 업체를 고치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는 단계를 넘어섰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김세중 국립국어원 공공언어지원단장은 “잘못된 존댓말이 과도하게 퍼져 있는 상황이어서 하나씩 바로잡기는 힘들다고 본다.”면서 “다만 말과는 달리 글에서는 이 같은 문제가 아직까지 불거지지 않고 있는 만큼 신문과 방송을 통해 대대적인 공익광고나 캠페인을 펼친다면 의외로 손쉽게 고쳐질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박건형기자 kitsch@seoul.co.kr

2011-12-24 1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