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49세 서울시민 10명 중 4명 미혼

25~49세 서울시민 10명 중 4명 미혼

입력 2011-12-26 00:00
업데이트 2011-12-26 05: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미혼 비중 ‘70년 11.9%→’10년 37.9% 작년 황혼이혼, 신혼이혼 첫 추월

서울의 25~49세 시민 10명 중 4명 정도가 결혼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또 지난해 처음으로 황혼이혼이 신혼이혼을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서울시에 따르면 25~49세 미혼인구는 1970년 21만5천184명에서 2010년 158만6천569명으로 40년 사이 7배 늘었다.

같은 기간 25~49세 인구 중 미혼 비중은 11.9%에서 37.9%로 26%포인트 증가했다.

결혼 시기도 점차 늦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0년 기준으로 평균 초혼연령은 남자 28.3세, 여자 25.5세였으나 2010년에는 남자 32.2세, 여자 29.8세였다.

미혼 인구의 증가는 주거형태 변화에도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2010년 1인 가구의 혼인상태별 분포를 보면 미혼이 51만4천가구(60.1%)로 가장 많았으며 사별 14만9천가구(17.4%), 이혼 10만8천가구(12.6%), 유(有)배우 8만4천가구(9.8%) 순이었다.

1인 가구는 1995년 15만6천207가구에서 2010년 85만4천606가구로 5배 정도 증가했다.

이 중 이혼한 1인 가구는 10배, 배우자가 있으나 직장 등의 문제로 가족과 떨어져 사는 1인 가구는 4배 늘었다.

또 이혼한 부부 중 동거기간이 ‘20년 이상’인 부부는 1990년 6.6%에서 2010년 27.3%로 증가했다.

반면 결혼 후 ‘4년 이내 이혼’은 같은 기간 38.3%에서 25%로 줄어 황혼이혼이 지난해 처음으로 신혼이혼을 앞질렀다.

이혼한 서울시민 중 50세 이상은 1980년 15.1%에서 2010년 49.7%로 증가, 전체 이혼인구 중 절반을 차지했다.

시 관계자는 “여권 신장으로 결혼에 대한 전통적 인식이 변화하면서 미혼인구와 황혼이혼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