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에게 대안 검증 맡겨야…한전 보상안도 현실성 떨어져”

“전문가에게 대안 검증 맡겨야…한전 보상안도 현실성 떨어져”

입력 2013-05-24 00:00
업데이트 2013-05-24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공사 중단’ 김준한 반대대책委 공동대표

“팔순 넘은 노인들에게 인턴 채용 때 자녀를 우대하고, 서울에 유학생을 위한 기숙사를 지어 주겠다는 한국전력의 대책이 와닿겠느냐.”

김준한 반대대책委 공동대표
김준한 반대대책委 공동대표
경남 밀양의 송전탑 반대대책위원회 공동 대표를 맡은 김준한(41) 신부는 23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조인국 한전 부사장이 오늘 밀양에 내려와 특별지원대책위원회를 만들고 그동안 약속한 13가지 보상안을 꼭 실현하겠다고 했지만 현실성이 떨어진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김 대표는 “고압선로가 공중에 설치되면 주변 땅 1㎞가 팔리지 않는데 주변 94m까지만 보상을 해준다니 이해할 수 없다”고도 했다.

김 대표는 또 “새누리당과 정부가 다음 달 임시국회에서 송·변전 시설 지역 지원법을 최우선 처리하겠다고 했지만 이 지원법에 원칙적으로 찬성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송전탑 반대 주민들이 보상이나 지원을 바라고 시위에 나선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김 대표는 한전 측이 제시한 보상 재원 마련 방안에도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국민들이 낸 전기요금의 일부로 보상 재원을 충당한다고 하는데 아무리 국책사업이라도 나랏돈을 일개 공기업의 사업을 위해 쓸 수 있는지 의문”이라면서 “기획재정부에서 허가가 났는지도 알 수 없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껏 주민들이 주장했듯공사를 일단 멈추고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해 지중화 문제 등에 대해 합리적으로 판단하자고 재차 밝혔다. 김 대표는 “고령의 주민들이 천막에서 찬밥에 거친 반찬을 먹으며 가파른 산을 오르는 것을 보면 협상을 빨리 끝내고 싶다”면서도 “전문가들이 지중화 등을 포함해 주민들이 낸 대안을 검증하는 데 1~3개월이면 충분하다고 했다. 협의체에서 주민들도 납득할 만한 합리적 결과가 나오면 받아들일 텐데, 한전 측은 기술적 검토조차 거부하며 공사를 강행해 주민과 충돌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밀양 김민석 기자 shiho@seoul.co.kr

2013-05-24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