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면 보다 넘어지고, 수시로 열어보고, 없으면 불안하고
이성수(31·가명)씨는 지난 연말을 떠올리면 얼굴이 화끈거린다. 서울 광화문 한복판에서 무단 주차를 막으려고 설치해 둔 돌기둥에 걸려 넘어졌기 때문이다. 휴대전화의 페이스북 화면에 시선을 고정하고 걸음을 재촉한 게 화근이었다. 이씨는 “전에도 휴대전화를 들여다보다 지나가던 사람과 부딪친 게 셀 수 없을 정도”라면서 “새해에는 걸을 때만이라도 휴대전화를 손에서 멀리할 생각”이라며 웃었다.신동원 성균관대 강북삼성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아이들에게 2세대(2G) 휴대전화를 사주는 등 ‘물리적 장벽’을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고 조언했다. 신 교수는 “다이어트를 하는 사람을 삼겹살집에 데려가 놓고 먹지 말라고 하면 참기 어렵듯이 아예 데려가지 않는 게 정답”이라고 말했다. 게임기나 대화프로그램 역할이 제한된 2G 휴대전화를 쓰도록 해 디지털 중독 가능성을 원천 봉쇄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해국 가톨릭대 의과대학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사용 목적과 시간을 명확히 정할 것을 권했다. 차단이 힘들 때 시도해 봄직한 차선책이다. 이 교수는 “디지털 중독인 사람은 정상적인 사람에 비해 안구질환이나 근골격질환이 2배 정도 더 발생한다”면서 “사용하기 전에 용도를 명확히 하고 스마트폰 중독 방지 애플리케이션(앱)을 사용해 하루 2시간을 넘기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간 인터넷중독 치료기관인 ‘인터넷 꿈희망터’의 이형초 센터장은 집에 휴대전화를 모아놓는 공간을 따로 만들라고 권했다. 이 센터장은 “가족들이 집에 오면 휴대전화를 묵음으로 해놓은 뒤 한 곳에 모아놓고 한번에 몰아서 메시지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도 방법”이라면서 “지속적으로 알림음이 울리는 데 따른 부작용이 있다”고 말했다.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4-01-03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