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참사> “사고 지점 2㎞ 거리 등대 유인화 묵살했다”

<세월호참사> “사고 지점 2㎞ 거리 등대 유인화 묵살했다”

입력 2014-04-30 00:00
수정 2014-04-30 13:32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진도 인근 해역 주민 해수부에 두 차례 건의

세월호 침몰 사고 해역과 가까운 곳의 등대 유인화(有人化) 사업 요청을 관계 당국이 묵살한 것으로 드러났다.

사고 지점인 진도 맹골수도에서 2㎞ 내에 있는 무인 등대를 직원들이 상주하는 유인 등대로 바꿨다면 인명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었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30일 진도 조도 어민 등에 따르면 해수부는 지난 2009년 맹골수도 옆 맹골도리 소재 ‘맹골 죽도등대’를 애초 직원이 상주 근무하는 유인등대에서 원격 조정이 가능한 무인화 시스템으로 전환했다.

맹골수도는 조도면 맹골도와 서거차도 사이 해역으로 평소에도 물살이 거세고 해난사고가 잦은 곳이다.

지난 2002년부터 10년간 맹골수도 인근 해상에서 58건의 해난사고가 발생했다.

무인화 이전 맹골 죽도등대에는 등대장과 직원 3명 등 4명이 24시간 상주하면서 등대 관리는 물론 선박 충돌사고 예방 등의 업무를 수행해 왔다.

하루에도 여객선, 화물선 등 수백 척이 통과하는 길목을 지키는 등대가 무인화되자 어민들은 해수부에 유인화 전환을 요구했다. 선박 사고 위험 및 등대 고장시 보수작업 장기화 등을 지적했다.

어민들은 실제로 지난해 7월 해수부에 인터넷 민원을 통해 유인화를 요청했다. 지난해 12월에도 이장, 여객선 선장, 어촌계장 등 50명의 서명을 받아 진도군수 이름으로 등대 유인화를 촉구하는 성명서를 제출했다.

그러나 해수부는 지난 1월 17일 ‘등대지기 출·퇴근이 힘들고 예산 확보 문제 등으로 실질적으로 어렵다’는 거부 의사를 담은 회신문을 보냈다.

어민들은 “죽도등대에서 세월호가 침몰한 사고지점은 2㎞가량 떨어져 있어 육안으로도 잘 보인다”며 “직원이 상주해 있었다면 항로 이탈 등 선박의 초기 이상 징후를 감지해 구조작업이 신속하고 원활하게 펼쳐졌을 것”이라고 안타까움을 표시했다.

해수부의 한 관계자는 “전국의 유인등대 10여 곳을 무인화한 지 시간이 얼마 지나지 않아 어민 요구를 곧바로 받아들이기 어려웠다”고 해명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