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TV·보안등 사각지대 최소화, 최적 위치 파악
박춘봉 사건이 발생한 경기도 수원시에 설치된 CCTV 빅데이터 분석으로 범죄를 예방하는 작업이 진행 중이다.15일 경기도에 따르면 도, 행정자치부, 수원시는 지난 4일부터 ‘수원시 보안등 및 CCTV 사각지대 빅데이터 분석’ 과제 수행에 들어가 이달 말 완료할 예정이다.
도의 제안으로 추진 중인 이번 과제는 수원시 전역에 분포된 보안등과 CCTV 데이터를 분석해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특히 주민들이 자주 찾는 하천변과 산책로, 단독주택 밀집지역, 학교 주변 등을 대상으로 CCTV 설치 유무를 확인하고 보안등 없이 CCTV만 설치된 곳을 중점적으로 파악한다.
데이터 분석 결과를 토대로 보안등과 CCTV 설치 위치를 조정하거나 추가로 설치하게 된다.
도 관계자는 “강력사건을 비롯한 각종 사건·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CCTV와 보안등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최적의 위치에 안전장치가 설치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수원시는 현재 보안등 1만2천541대와 CCTV 3천932대(1천762곳)를 운영중이다.
CCTV는 일반방범용이 2천354대로 가장 많고 공원안전용(810대), 스쿨존안전용(235대), 차량방범용(167대) 등의 용도로 사용중이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