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사 사칭해 여성 신체사진 전송받은 남성 무죄인 이유

간호사 사칭해 여성 신체사진 전송받은 남성 무죄인 이유

신성은 기자
입력 2018-01-04 15:00
수정 2018-01-04 15:00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부산지법, “피해자가 동의해 스스로 한 촬영, 의사에 반하지 않아”

간호사를 사칭해 여성을 속인 뒤 의료상담 명목으로 은밀한 신체사진을 찍게 해 전송받은 남성은 성폭력 특례법을 위반한 것일까.

2016년 2월 어느 날 새벽, A(28) 씨는 인터넷 검색을 하다가 한 20대 여성 B 씨가 쓴 생리 질환에 대한 고민 글을 보고 “상담해주겠다”는 댓글을 남겼다.

연락이 온 B 씨에게 A 씨는 인터넷에서 다운받은 여성 사진을 보여주며 자신을 간호사라고 속였다.

그런 뒤 질환 부위를 자세히 봐야 정확한 치료가 가능하다며 질환이 있는 부위의 사진을 찍어 보내라고 했다.

거짓말에 넘어간 B 씨는 근접해서 촬영한 신체사진 4장을 A 씨 휴대전화로 전송했다.

사진을 받은 A 씨는 돌변했다.

입에 담지 못할 음란한 내용의 문자메시지를 B 씨에게 보내 성적 수치심을 느끼도록 한 것이었다.

성폭력 특례법에 따르면 성적 욕망·수치심을 유발하는 타인 신체를 의사에 반하여 촬영한 행위는 ‘카메라 등 이용촬영’ 혐의에 해당한다.

검찰은 A 씨가 피해 여성을 속여 성적 수치심을 유발하는 모습을 휴대전화로 촬영하게 한 것은 범죄라며 기소했지만, 법원은 A 씨의 행위가 범죄가 아니라며 무죄를 선고했다.

부산지법 형사3부(문춘언 부장판사)는 성폭력범죄의 처벌 등에 관한 특례법 위반(카메라 등 이용촬영·통신매체 이용 음란) 혐의로 기소된 A 씨 항소심에서 ‘카메라 등 이용촬영’ 혐의는 무죄로 판단한 원심 판결을 그대로 유지했다고 4일 밝혔다.

1심 재판부는 A 씨에게 ‘통신매체 이용 음란’ 혐의만 유죄로 인정해 징역 10개월,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고 검찰은 A 씨가 무죄를 받은 ‘카메라 등 이용촬영’ 혐의 부분이 법리 오해가 있다며 항소했다.

재판부는 “B 씨가 스스로 자신의 몸을 촬영했고, 폭행·협박 등 강압적인 상황이 아닌 데다 촬영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의사 능력이 있었던 점 등으로 미뤄 무죄를 선고한 원심은 정당하다”고 판결했다.

재판부는 “A 씨 행위는 B 씨를 도구로 범죄를 저지른 간접정범 사건으로 볼 수 있으나 이 경우 사진 촬영이 B 씨 의사와 다르게 이뤄져야 행위가 인정된다”는 점도 무죄 증거로 봤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도수치료 보장 안됩니다” 실손보험 개편안, 의료비 절감 해법인가 재산권 침해인가
정부가 실손의료보험 개편을 본격 추진하면서 보험료 인상과 의료비 통제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비급여 진료비 관리 강화와 5세대 실손보험 도입을 핵심으로 한 개편안은 과잉 의료 이용을 막고 보험 시스템의 지속 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조치로 평가된다. 하지만 의료계와 시민사회를 중심으로 국민 재산권 침해와 의료 선택권 제한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과잉진료를 막아 전체 보험가입자의 보험료를 절감할 수 있다.
기존보험 가입자의 재산권을 침해한 처사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