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과거사위, 형제복지원사건 재조사해야…과거 수사외압”

“검찰 과거사위, 형제복지원사건 재조사해야…과거 수사외압”

김태이 기자
입력 2018-01-17 15:28
수정 2018-01-17 15:28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른바 ‘부랑인 수용시설’이던 형제복지원의 인권침해 사건을 재조사하라고 피해자와 유족이 검찰에 촉구했다.

형제복지원 사건 진상 규명을 위한 대책위원회와 피해자·유족은 17일 오전 서울 서초구 대검찰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형제복지원 사건을 검찰 과거사위원회의 조사대상 사건으로 인정해달라고 요구했다.

이들은 당시 형제복지원이 집이 없거나 가난하고 장애가 있는 사람들을 부랑인으로 낙인찍어 무단 수용했으며, 수용자들에게 강제노역을 시키고 구타를 일삼는 등 인권을 유린했다고 말했다.

이어 당시 부산지검 울산지청(현 울산지검) 검사로 있던 김용원 변호사가 이 사건을 수사했으나 외압에 의해 사건이 왜곡·축소됐다고 주장했다.

한종선 형제복지원사건피해생존자모임 대표는 “형제복지원 사건은 국가가 자국민을 상대로 인권유린을 저지른 국가폭력 사건이자 헌법을 지켜야 할 검찰의 자긍심도 잃게 된 사건”이라며 “검찰은 당시 수사를 방해한 이유를 밝히라”고 요구했다.

김 변호사는 “31년 전 오늘 형제복지원 원장을 구속한 날”이라며 “울주군에 있던 작업장에 복지원 수용자들이 강제노역하는 것을 알고 조사를 마치고 부산 본원 수사를 하려 했지만, 부산지검장과 차장검사가 조사를 좌절시켰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이 같은 수사 방해가 전두환 당시 대통령의 지시 때문이었다는 사실은 나중에 알았다”고 했다.

이들은 형제복지원 사건을 검찰이 재조사한 뒤 진상규명을 위한 특별법을 제정해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