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나눔] “아빠가 산타야?” 물으면 뭐라고 하죠

[생각나눔] “아빠가 산타야?” 물으면 뭐라고 하죠

김정화 기자
입력 2018-12-25 21:56
업데이트 2018-12-26 00: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산타의 진실 언제 알릴까

이미지 확대
“엄마·아빠 산타클로스 할아버지가 없다는 데 진짜야?”

25일 크리스마스를 맞아 많은 부모가 어린 자녀에게 산타클로스의 존재 여부를 밝히는 것을 놓고 깊은 고민에 빠졌다. ‘냉혹한 진실’을 사실대로 얘기하면 동심을 파괴하게 되고, 거짓말로 일관하면 나중에 자녀가 진실과 마주했을 때 받게 될 충격과 실망감이 클 수 있기 때문이다.

●“스스로 깨닫기까지 동심 지켜줘야”

지난 23일 인터넷의 한 게시판에는 “5살 아이에게 남편이 ‘아빠가 산타야’라고 해서 화가 나는데 어떻게 생각하세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남편이 아이에게 “엄마·아빠가 산타할아버지야”라고 밝히자, 아이가 아내에게 “아빠가 산타야?”라고 물었고, 아내는 “당연히 아니지”라며 자녀의 동심을 지켜주려 애썼지만, 아이가 계속 같은 질문을 해 와 깊은 고민울 했다는 내용이었다.

결혼 7년차인 김모(36)씨도 “5살 된 아이가 어린이집에 가서 무슨 얘기를 듣고 왔는지 크리스마스 이브에 계속 엄마·아빠가 산타냐고 물었다”면서 “일단 아니라고 둘러댔는데, 나중에 아이에게 ‘거짓말쟁이’라는 소리를 안 들으려면 지금쯤 사실대로 말해야 하는 게 아닌가 싶기도 하다”며 난처해했다.

●“숨기기보다 말해주고 혼란 줄여야”

미국 뉴저지주에서는 지난달 한 초등학교 1학년 교사가 한 학생이 ‘산타가 있다고 믿는다’고 쓴 에세이의 구절을 보고 “산타는 없다. 거짓이다”고 했다가 학부모로부터 거센 항의를 받아 해임된 것으로 알려졌다. 학교 측은 “교사가 경솔했다”면서 “어린 시절의 천진난만함을 유지하기 위해 조치를 취했다”며 사과했다. 하지만 이 일을 두고 “부모가 아닌 교사가 진실을 밝힌 것은 잘못이 아니다”라는 지역 사회의 반론도 거셌다.

부모 사이에서는 의견이 분분하다. 직장인 황모(35)씨는 “요즘은 아이 앞에서 산타의 진실을 숨기는 게 쉬운 일이 아니다”라면서 “조만간 진실을 알려주고 아이가 받을 수 있는 혼란을 최소화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반면, 유모(34)씨는 “나이가 들어 스스로 알게 되면 오히려 충격이 덜할 것 같아 끝까지 동심을 지켜줄 계획”이라고 했다.

●전문가 “자라면서 자연스럽게 수용”

지성애 중앙대 유아교육과 교수는 “아이들이 유아기에는 부모를 비롯해 어른과 관계를 맺지만, 나이가 들수록 또래 집단의 영향을 더 많이 받기 때문에 학교생활을 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산타의 진실을 받아들이게 된다”면서 “산타 할아버지가 아이들의 상상력을 풍부하게 하고 기쁨을 주는 만큼 굳이 ‘산타가 없다’는 말로 아이들에게 충격을 줄 필요는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2018-12-26 1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