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용 사과한 날, 철탑 위 해고노동자 김용희는 세 번째 단식을 시작했다.

이재용 사과한 날, 철탑 위 해고노동자 김용희는 세 번째 단식을 시작했다.

이근아 기자
입력 2020-05-07 17:30
업데이트 2020-05-07 17: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7일로 333일째 철탑 위 고공농성 중인
해고노동자 김용희 인터뷰
여전히 고공농성중인 김용희씨      (서울=연합뉴스) 신준희 기자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대국민 사과 다음날인 7일 서초동 삼성 사옥 인근 철탑 위에서 삼성 해고 노동자 김용희씨가 깃발을 흔들고 있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는 임기 마지막날 회의에서 김씨를 언급하며 “삼성그룹과 이 부회장의 결자해지를 기대하고 요청한다”고 말했다. 2020.5.7      hama@yna.co.kr/2020-05-07 14:55:49/ <저작권자 ⓒ 1980-2020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여전히 고공농성중인 김용희씨
(서울=연합뉴스) 신준희 기자 =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의 대국민 사과 다음날인 7일 서초동 삼성 사옥 인근 철탑 위에서 삼성 해고 노동자 김용희씨가 깃발을 흔들고 있다.
이날 더불어민주당 이인영 원내대표는 임기 마지막날 회의에서 김씨를 언급하며 “삼성그룹과 이 부회장의 결자해지를 기대하고 요청한다”고 말했다. 2020.5.7
hama@yna.co.kr/2020-05-07 14:55:49/ <저작권자 ⓒ 1980-2020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지난 6일 서울 서초구 사옥에서 무노조 경영 포기를 선언하며 고개를 숙인 그 시간 사옥 앞 25m 철탑 위에 있던 김용희(62)씨는 이 부회장의 대국민 사과를 실시간 중계로 지켜봤다. 333일째 삼성의 노조 탄압에 항의하며 고공 농성을 이어 온 해고 노동자 김씨는 실망감을 감추지 못했다. 이 부회장에게 돌려준 김씨의 대답은 세 번째 단식이었다.

김씨는 7일 서울신문과의 전화 인터뷰에서 “노동자로서 할 수 있는 게 고공농성과 단식뿐”이라며 “이 부회장의 진정한 사과 전까지 내려가지 않겠다”고 했다.

김씨는 1982년 12월 삼성항공 창원 1공장에 입사해 경남 지역 삼성 노조 설립위원장으로 활동했다는 이유로 1995년 5월 해고됐다. 지난해 6월 3일부터 서초사옥 앞에서 단식농성을 시작했고, 같은 달 10일부터는 철탑 위에 올랐다. 누구보다 간절히 이 부회장의 참회를 기다린 김씨의 목소리는 차가웠다. 그는 “기대하는 마음으로 사과를 지켜봤지만, 실망뿐이다. 진정한 사과가 아닌 형량을 줄이기 위한 형식적인 제스처”라고 잘라 말했다.
엎드리면 다리가 나올 만큼 좁은 공간
엎드리면 다리가 나올 만큼 좁은 공간 27일 오후 서울 강남역 사거리 교통 폐쇄회로(CC)TV 철탑에서 고공농성 중인 김용희 씨가 지상에 있는 삼성 해고자 고공 단식 농성 문제해결을 위한 시민사회단체 공동대책위 집회 참가자와 전화 통화를 하며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이날 삼성 해고자 고공 단식 농성 문제해결을 위한 시민사회단체 공동대책위 집회 참가자 대표들은 소방 사다리차를 이용해 철탑에 접근해 건강 문제 등을 이유로 김씨에게 고공농성 중단을 권유했으나 농성을 이어가기로 했다.
경남지역 삼성 노조설립위원장 활동으로 1995년 부당해고 당했다고 주장하며 48일째 고공농성을 하고 있는 김씨는 농성에 앞서 시작한 단식이 이날로 55일째를 맞았다. 2019.7.27
연합뉴스
김씨는 “이 부회장의 무노조 경영 포기 방침은 무의미한 선언에 불과하다”며 “노조 설립은 헌법에도 보장된 노동자의 권리인데 삼성이 이제까지 모른 척해 왔던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과 싸우며 가족과 건강을 잃은 김씨가 원하는 것은 세 가지다. 김씨는 “처음 철탑에 올랐을 때부터 이 부회장이 해고 노동자들에게 직접 사과하고, 이들을 명예 복직시키고, 해고 기간의 임금을 지급해야 한다고 요구했다”고 말했다. 이어 “삼성이 제대로 된 사과와 대책 없이 두루뭉술하게 넘어가지 않도록 끝까지 투쟁하겠다”고 말했다.

삼성 피해자 관련 시민단체도 이날 이 부회장의 대국민 사과를 비판하는 기자회견을 열고 “기습적인 이 부회장의 기만적 대국민 사과를 수용할 수 없다”며 “삼성의 노조 탄압과 불법적 이윤 추구의 피해자를 위한 구체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라”고 촉구했다.

이근아 기자 leegeunah@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