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양시설 ‘투명 칸막이’ 너머로 묻는 부모님 안부

요양시설 ‘투명 칸막이’ 너머로 묻는 부모님 안부

이성원, 김정화, 이현정 기자
입력 2020-05-07 23:02
업데이트 2020-05-08 02: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화상통화 등 어버이날 간접면회 허용…카네이션은 요양원 직원이 대신 전달

유리창 너머 어머니 손 잡을 순 없지만…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
유리창 너머 어머니 손 잡을 순 없지만… 고맙습니다, 사랑합니다 어버이날을 하루 앞둔 7일 채희철(왼쪽)씨가 대전보훈요양원에서 생활하는 구순의 노모 이은춘(오른쪽)씨를 마주 보며 환히 웃고 있다. 두 사람 사이에는 유리벽이 놓였다. 코로나19 감염 우려가 큰 요양시설의 면회가 금지되면서 마련된 비접촉 면회 창구다.
대전 뉴스1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어버이날에도 요양기관 면회 금지가 유지되면서 가족들의 애타는 마음이 커지고 있다. 일부 요양기관은 아쉬움을 조금이라도 덜기 위해 화상통화를 연결해 주거나 투명 칸막이를 동원해 간접적으로나마 면회를 허용하기도 했다. 어버이날을 하루 앞둔 7일 전국의 요양기관에는 면회가 가능한지 문의하는 전화가 몰렸다. 요양기관의 면회가 금지된 것을 알고 있지만 혹시나 하는 마음에 확인차 전화를 한 것이다. 경기 파주시의 한 요양원 관계자는 “며칠 전부터 어버이날 가족 면회가 금지된다는 걸 알렸지만 면회 문의가 잇따르고 있다”며 “다양한 방법을 고민해 봤지만 정부의 결정에 따를 수밖에 없어 안타까울 따름”이라고 말했다.

요양기관들은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다. 어르신들의 섭섭함을 달래기 위해 각종 어버이날 행사를 준비하는 한편 직원이 화상통화를 도와주고 비접촉 면회 창구를 마련하기도 했다. 경기 하남시의 한 요양원은 어버이날에 가족들이 촬영한 15초 분량의 영상편지를 복도에서 틀어 주고, 카네이션을 가족 대신 직원이 전달할 계획이다.그럼에도 섭섭한 마음은 어쩔 수 없다. 어머니를 요양병원에 모시고 세 달간 찾아가지 못했다는 김지숙(65·가명)씨는 “일주일에 2~3번은 꼭 어머니를 뵈러 갔는데, 코로나19 확산 이후 한 번도 면회를 가지 못했다”며 “어버이날엔 꼭 면회를 가겠다고 했는데, 이마저도 무산돼 속상할 따름”이라고 밝혔다.

방역당국은 요양시설 같은 고위험 시설의 면회 제한을 완화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윤태호 중앙사고수습본부 방역총괄반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요양기관 면회 시) 얼굴을 마주 보게 하되 비말이 튀지 않도록 투명 칸막이를 설치해 면회하게 하는 지방자치단체도 있다”며 “우수한 사례를 검토해 면회 지침을 마련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김정화 기자 clean@seoul.co.kr
이현정 기자 hjlee@seoul.co.kr

2020-05-08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