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연 “정부 보조금 누락 기재, 회계처리 오류”

정의연 “정부 보조금 누락 기재, 회계처리 오류”

임효진 기자
입력 2020-05-16 19:50
업데이트 2020-05-16 19: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정의연’ 논란 속 수요시위는 어김없이
‘정의연’ 논란 속 수요시위는 어김없이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에 대한 후원금 회계 처리 의혹이 제기 되고 있는 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옛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439차 정기수요시위에서 참가자들이 행사를 진행하고 있다. 2020.5.13 연합뉴스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16일 결산 서류에 정부 보조금을 누락 기재했다는 지적에 대해 “회계처리 오류”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날 정의연은 설명자료를 내고 “2016년에는 수행한 공모 사업이 없었고, 2017∼2018년 보조금 수입으로 0원을 기재한 것은 회계처리 오류”라며 “동일한 오류가 반복되지 않도록 회계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개선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정의연은 2018년 1억원, 2019년 7억1700여만원의 보조금을 받았으나 공시상의 ‘보조금’ 항목에는 2018년 0원, 2019년 5억3800만원으로 기재해 논란이 일었다.

정의연은 “일본군 ‘위안부’ 관련 공모사업 보조금은 별도의 전용계좌로 수령한 뒤 사용하고 남은 금액을 공모사업 시행기관에 반환한다”며 “공모사업 시행기관의 사업을 정의연이 대신 수행하는 것이란 생각에서 정의연의 수입·지출이 아니라고 판단해 결산서에 포함하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후에 이러한 방식의 보조금 사업 집행내역도 정의연의 회계처리에 포함해야 한다는 것을 인지해 2019년부터 결산에 반영했다”고 밝혔다. 정의연은 정대협 결산서에 대해서도 “같은 이유의 회계처리 오류”라고 덧붙였다.

아울러 정의연은 위안부 피해자 고(故) 김복동 할머니의 장례 조의금 모금 및 집행과 관련해 조의금 수입은 2억2726만여원이었으며, 장례비로 9703만여원을, 49재와 김복동 유지 계승활동비로 1억650만원을 썼다고 밝혔다.

정의연은 ‘김복동 유지 계승비활동비’는 장례위원회와 심의위원회 논의를 거쳐 11개 시민사회단체 후원금으로 2200만원, 시민사회단체 활동가 자녀 25명을 위한 김복동 장학금으로 5000만원 등이 전달됐다“고 설명했다.

정의연은 위안부 할머니들을 위한 기부금으로 매입한 쉼터를 펜션처럼 운영했다는 의혹 등에 대해서는 따로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그 때문에 반쪽짜리 해명이라는 비판도 제기된다.

임효진 기자 3a5a7a6a@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