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인사이트] 6.25전쟁 70년, 사진으로 본 70년 전 부산, 그리고 현재

[포토인사이트] 6.25전쟁 70년, 사진으로 본 70년 전 부산, 그리고 현재

오장환 기자
입력 2020-06-19 12:23
업데이트 2020-06-19 12:2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6.25 70주년, 부산 영도구 과거와 현재
6.25 70주년, 부산 영도구 과거와 현재 지난 15일 부산 영도구 봉래동 물양장 모습이 1953년 촬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당시 봉래동 물양장 모습을 담은 사진과 포개져 보인다. 당시 사진에는 사람들이 목선에서 보급품을 내리고 있으며 뒤에는 피란민 가옥이 보인다. 현재 봉래동 물양장은 예부선 계류장으로 쓰고 있으며 인근에는 수익형 호텔들이 건립돼 있다. 2020.6.19 [부경근대사료연구소 일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1952년 영도다리 피란민과 2020년 영도대교를 건너는 사람들
1952년 영도다리 피란민과 2020년 영도대교를 건너는 사람들 지난 15일 부산 영도대교 현재의 모습과 1952년 한국전쟁 당시 영도다리를 오가는 사람들이 찍힌 사진을 같이 담은 모습. 6.25 당시 전국의 피란민들이 모여들었던 영도대교는 현재도 그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2020.6.19 [부경근대사료연구소 일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6.25 70주년, 부산 영도구 과거와 현재
6.25 70주년, 부산 영도구 과거와 현재 지난 15일 부산 영도구 봉래동 물양장 모습이 1953년 촬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당시 봉래동 물양장 모습을 담은 사진과 포개져 보인다. 당시 사진에는 사람들이 목선에서 보급품을 내리고 있으며 뒤에는 피란민 가옥이 보인다. 현재 봉래동 물양장은 예부선 계류장으로 쓰고 있으며 인근에는 수익형 호텔들이 건립돼 있다. 2020.6.19 [부경근대사료연구소 일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부산 피란수도의 흔적
부산 피란수도의 흔적 지난 15일 부산 서구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옛 임시중앙청사)이 1950년 촬영된 임시중앙청사를 다음 사진과 포개져 보인다. 이곳은 6.25 당시 임시 중앙청사(현 정부종합청사) 역할을 하며 국무회의 등이 열렸다. 현재는 리모델링을 거쳐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으로 쓰인다. 2020.6.19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영도대교 과거와 오늘
영도대교 과거와 오늘 지난 15일 부산 영도대교 현재의 모습과 1952년 한국전쟁 당시 영도다리를 오가는 사람들이 찍힌 사진을 같이 담은 모습. 6.25 당시 전국의 피란민들이 모여들었던 영도대교는 현재도 그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2020.6.19 [부경근대사료연구소 일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피란민 희망의 다리였던 영도다리
피란민 희망의 다리였던 영도다리 지난 15일 부산 영도대교 현재의 모습과 1952년 한국전쟁 당시 영도다리를 오가는 사람들이 찍힌 사진을 같이 담은 모습. 6.25 당시 전국의 피란민들이 모여들었던 영도대교는 현재도 그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2020.6.19 [부경근대사료연구소 일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영도대교 과거와 오늘
영도대교 과거와 오늘 지난 15일 부산 영도대교 현재의 모습과 1952년 한국전쟁 당시 영도다리를 오가는 사람들이 찍힌 사진을 같이 담은 모습. 6.25 당시 전국의 피란민들이 모여들었던 영도대교는 현재도 그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2020.6.19 [부경근대사료연구소 일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1952년 수영비행장과 2020년 센텀의 모습
1952년 수영비행장과 2020년 센텀의 모습 부경근대사료연구소가 소장하고 있는 1952년 촬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수영 K-9 비행장 모습(사진 위?수영강 왼쪽 모습). 왼쪽 상단(현 벡스코 위치) 포로수용소 모습이 보인다. 아래 사진은 15일 드론으로 촬영한 해운대구 센텀시티 모습. K-9 비행장은 김해국제공항으로 1973년 이전된 뒤 이 일대는 첨단 도시를 표방하는 센텀시티로 개발돼 초고층 건물들이 우후죽순 들어섰다. 2020.6.19 [부경근대사료연구소 일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부산 서면 교차로의 과거와 현재
부산 서면 교차로의 과거와 현재 부경근대사료연구소가 소장하고 있는 1952년 항공 촬영한 것으로 추정되는 서면 교차로 모습(사진 위). 왼쪽 상단이 포로수용소 모습이다. 사진 아래는 2018년께 부산진구가 부산 서면교차로를 드론으로 촬영한 모습. 이 두 사진은 촬영된 방향에서 다소 차이가 있다. 2020.6.19 [부경근대사료연구소, 부산진구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연합뉴스


1950년 6·25전쟁 발발로 1천23일 동안 서울을 대신한 임시수도 였던 부산의 70년 전과 2020년 6월 중순 오늘 날을 같이 담은 모습. 산 위에 집을 지으며 분단의 아픔을 딛고 성장한 부산은 어느덧 대한민국 제2도시로 성장했다. 2020.6.19 오장환 기자 5zzang@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