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태복원·볼거리 위해 하트모양 수초섬 설치

생태복원·볼거리 위해 하트모양 수초섬 설치

조한종 기자
입력 2020-08-06 22:20
업데이트 2020-08-07 02:0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참사 단초 된 수초섬은

나무틀 엮은 뒤 갈대 심어 녹조현상 예방
춘천, 작년부터 14억여원 들여 확장·추가
이미지 확대
인공 수초섬 연합뉴스
인공 수초섬
연합뉴스
“‘수초섬’이 뭐길래 담당 공무원의 지시까지 어겨 가며 무리하게 고정하려 했을까?”

6일 강원 춘천 의암댐에서 발생한 선박 3대 전복 참사의 단초가 된 인공 수초섬에 대한 의문이 증폭되고 있다. 의암호에 설치된 수초섬은 춘천시가 생태복원 등 수질 개선과 볼거리를 위해 추진하는 사업이다. 춘천시는 한강수계관리기금 10억원 등 14억 5000만원을 들여 기존 수초섬을 보수·확장하는 사업을 지난해 말 착공했다. 기존의 인공 수초섬 면적을 2900㎡ 확장하고 2700㎡면적의 수초섬을 추가하는 사업이다.

수초섬은 나무틀에 밧줄을 엮은 뒤 부영양화의 원인이 되는 인과 질소를 자양분으로 하는 갈대 등을 심어 녹조현상을 막기 위해 조성하는 것이다. 하트로 모양을 내 관광객들에게 볼거리를 만들어 보겠다는 취지도 보탰다. 호수에 서식하는 동물들의 생태 도래지 역할도 기대했다.

하지만 환경전문가들은 “20년 전 국립환경연구원에서 시작한 수초섬이 수질환경 개선에 그다지 효과가 있다는 데이터는 보지 못했다”며 “다만 맑은 물을 유지한다는 상징적인 의미로 자치단체들이 간혹 설치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런 수초섬을 놓고 폭우로 불어난 물과 댐 방류가 시작된 시점에 무리하게 떠내려가지 않게 고정해야 했을까 하는 의문이 제기된다. 그것도 춘천시 담당 계장은 ‘출동하지 말고 떠내려 보내라’고 했는데도 이를 강행한 이유가 무엇인지 경찰 조사가 뒤따라야 할 것으로 보인다.

춘천 조한종 기자 bell21@seoul.co.kr
2020-08-07 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