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천 돼지열병 농가 인근서 추가 확진…“살처분 농장 재입식 유연하게 대응을”

화천 돼지열병 농가 인근서 추가 확진…“살처분 농장 재입식 유연하게 대응을”

하종훈 기자
하종훈 기자
입력 2020-10-11 22:24
업데이트 2020-10-12 06:2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문가 “지금은 멧돼지 포획보다 소탕
질병 통제 컨트롤타워도 일원화해야”

이미지 확대
강원도 화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농장 인근에서 ASF 추가확진 농가가 확인된 11일 오전 해당 양돈농가에서 방역요원들이 매몰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2020.10.11 뉴스1
강원도 화천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농장 인근에서 ASF 추가확진 농가가 확인된 11일 오전 해당 양돈농가에서 방역요원들이 매몰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2020.10.11 뉴스1
‘돼지 흑사병’으로 불리는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올 들어 처음 발생한 강원 화천군에서 또다시 확진 판정을 받은 농가가 나왔다. 전문가들은 방역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않도록 감염원으로 지목받는 야생멧돼지 개체를 적극 줄이되, 농가 피해를 고려해 지난해 살처분된 농장의 재입식(다시 가축을 들이는 것)엔 유연하게 대응할 것을 주문했다.

ASF 중앙사고수습본부는 지난 8일 ASF가 발생한 양돈농장에서 2.1㎞ 떨어진 예방적 살처분 대상 양돈농장 1곳에서 사육 중인 돼지 30마리의 시료를 채취해 정밀 분석한 결과 이 중 2마리가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11일 밝혔다. 앞서 중수본은 ASF가 발생하자 해당 농장의 돼지 940마리와 인근 10㎞ 내 양돈농장 2곳의 사육돼지 1525마리 등 2465마리를 살처분했고 정밀검사를 시행한 바 있다.

중수본은 화천 이외로 ASF가 확산하는 것을 막기 위해 지난 9일부터 경기·강원 양돈농장과 축산차량에 대해 내려진 ‘일시 이동중지 명령’(스탠드 스틸)을 12일 오전 5시까지 24시간 연장했다.

ASF는 그동안 야생멧돼지에서 750여건 발생했지만, 사육돼지에서 다시 발생한 것은 지난해 10월 9일 이후 1년 만이다. ASF는 사람에게는 전염되지 않지만 백신이나 치료약이 없어 돼지 폐사율이 100%에 이른다. 최초 발생 농장 인근은 야생멧돼지가 자주 출몰하는 지역이라 유력한 감염원으로 멧돼지가 지목받고 있다.

정승헌 건국대 축산학과 교수는 “태풍과 긴 장마로 멧돼지를 막기 위해 곳곳에 설치한 광역울타리가 많이 약해졌고, 방역망이 약화되면서 멧돼지들이 농장 인근으로 온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현섭 한국양돈수의사회장은 “가을 수확철에 접어들어 멧돼지들이 대거 산에서 내려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그만큼 지금이 위험한 시기”라면서 “그동안 진행해 온 멧돼지 포획과 차단을 넘어 본격적인 멧돼지 소탕을 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김 회장은 “사육돼지는 농림축산식품부가, 멧돼지는 환경부가 전담하고 있지만 질병을 통제 관리할 수 있는 농식품부 중심으로 컨트롤타워를 일원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당국은 지난해 ASF가 발생한 경기 북부, 인천·강화 양돈농가와 인근의 돼지 44만여 마리를 수매하고 예방적 살처분을 했다. 이에 따라 1년 이상 돼지 재입식을 하지 못한 농가들은 여전히 부채 상환과 이자 부담 압박을 받고 있다. 이번 ASF 재발로 재입식이 더욱 어려워져 농가의 불안도 커지고 있다.

세종 하종훈 기자 artg@seoul.co.kr
2020-10-12 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