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주민등록 인구통계 발표
전년比 2만여명 줄어 5182만 9023명사망>출생… 평균 가구원 2.24명 ‘최저’
지방소멸 가속화… 17곳 중 12곳 감소
응애~~ 새해 첫 둥이
지난 1일 0시 경기 고양시 일산차병원 분만실에서 체중 3.43㎏의 건강한 아이가 태어났다. 정송민·임상현씨 부부가 낳은 이 아이의 태명은 ‘하트’다. 부부의 첫째 딸이 남동생을 사랑한다는 의미로 지어 준 태명이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행정안전부가 3일 발표한 주민등록 인구통계에 따르면 2020년 12월 31일 기준 주민등록 인구는 모두 5182만 9023명으로 전년 대비 2만 838명(0.04%) 줄었다. 출생자보다 사망자가 더 많았던 것이 주민등록 인구가 처음으로 감소세로 돌아선 주원인이었다. 지난해 출생자는 27만 5815명으로 전년 대비 10.65%(3만 2882명)나 떨어졌다. 반면 사망자는 30만 7764명으로 전년 대비 3.10%(9269명) 늘었다. 저출산·고령화 영향으로 40·50대가 전체의 32.7%를 차지했고 60대 이상은 24.0%인 반면 10대 이하는 16.9%에 그쳤다.
1인 가구와 2인 가구가 늘어나면서 지난해 가구수 자체는 2309만 3108가구로 전년 대비 61만 1642가구(2.72%) 증가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 지난해 1인 가구 역시 전년보다 57만 4741가구(6.77%) 늘어난 906만 3362가구로 역대 최대였다. 전체 가구에서 1인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도 39.2%나 됐다. 거기다 2인 가구까지 더하면 전체 가구의 62.6%로 절반을 훌쩍 넘는다. 반면 4인 이상 가구 비중은 20.0%로 떨어졌다. 평균 가구원도 2.24명으로 사상 최저치였다.
서승우 행안부 지방행정정책관은 “2020년은 인구 감소 시작, 1·2인 가구의 폭발적 증가, 최저 출생자 수 등으로 사회경제 전반에 걸친 변화가 필요하다는 메시지를 던져 준다”며 “지난해를 기점으로 각 분야 정책 방향을 새롭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강국진 기자 betulo@seoul.co.kr
2021-01-04 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