묶으면 더 퍼진다… 요양병원 집단감염은 ‘예고된 비극’

묶으면 더 퍼진다… 요양병원 집단감염은 ‘예고된 비극’

입력 2021-01-03 19:42
수정 2021-01-04 09: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10곳 중 8곳, 감염관리실 운영 안 해

이미지 확대
요양병원 내 감염병 대응 인력이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코로나19 확산 이전부터 꾸준히 제기됐지만 수년째 문제가 방치돼 온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건양대 산학협력단이 질병관리청의 의뢰를 받아 2019년 4월부터 2020년 3월까지 연구한 ‘요양병원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지침 개발’ 조사에 따르면 조사에 참여한 전국 요양병원 110개 중 직제상 감염관리실을 두는 병원은 18.3%에 그쳤다. 요양병원 10곳 중 8곳은 조직도상에 감염관리실이 기재돼 있지 않은 셈이었다.

감염관리 인력도 초라했다. 감염관리 담당 간호사가 있는 병원은 89.7%였지만, 이 가운데 감염관리 담당 간호사가 한 명인 병원은 92.3%(2명 이상 7.7%)로 평균 1.1명의 간호사가 감염병을 관리하는 업무를 맡았다. 특히 감염관리 전담 간호사는 1.0%에 불과했다. 대부분 가욋일로 감염병을 관리하고 있었다. 감염관리 전문 간호사가 있는 병원은 1.7%에 그쳤다. 상황이 이렇다 보니 감염 유행을 조사하거나 대책을 세우는 병원은 42.7%에 그쳤다. 조사가 어려운 이유로 전문 인력 부족을 꼽은 병원이 78.1%였고 전문 지식 부족 69.8%, 예산 부족이 49.0%였다. 전문가들도 요양병원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했을 때 동일집단(코호트) 격리를 한다고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병원 내에서 의료진과 환자 간 접촉이 많을 수밖에 없는 구조도 문제다. 특히 환자와의 접촉 빈도가 잦을 수밖에 없는 물리치료는 요양병원의 91.7%가 시행하고 있다. 감염병 격리병실은 요양병원의 67.9%가 구비하고 있었지만, 격리병실 수는 평균 1.7개에 그쳤다. 대규모 집단감염이 발생하면 턱없이 부족한 숫자다. 음압병실을 갖춘 병원은 한 군데도 없었다.

한편 정부는 이날 ‘요양병원 긴급의료 대응계획’을 마련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는 요양병원 내 확진자 규모가 클 경우 비접촉자를 다른 요양병원으로 신속히 전원 조치하기로 했다. 확진자 규모가 작으면 확진자를 중증도에 따라 전담 요양병원 또는 중증 전담 치료 병상으로 이송할 예정이다. 지난 12월 한 달간 코호트 격리에 들어간 요양병원은 전국적으로 14곳이고, 이 병원에서 확진자는 996명, 사망자는 99명이 발생한 것으로 집계됐다.

이성원 기자 lsw1469@seoul.co.kr
이범수 기자 bulse46@seoul.co.kr

2021-01-04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투표
'정치 여론조사'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최근 탄핵정국 속 조기 대선도 예상되는 상황에서 '정치여론조사' 결과가 쏟아지고 있다. 여야는 여론조사의 방법과 결과를 놓고 서로 아전인수격 해석을 하고 있는 가운데 여론조사에 대한 불신론이 그 어느때보다 두드러지게 제기되고 있다. 여러분은 '정치 여론조사'에 대해 얼마큼 신뢰하시나요?
절대 안 믿는다.
신뢰도 10~30퍼센트
신뢰도 30~60퍼센트
신뢰도60~90퍼센트
절대 신뢰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