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무 시달리다 회식 중 쓰러져 사망한 부사관…“업무상 재해”

격무 시달리다 회식 중 쓰러져 사망한 부사관…“업무상 재해”

곽혜진 기자
입력 2021-06-06 10:21
업데이트 2021-06-06 10: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사망 직전 1주 동안 60시간 근무

이미지 확대
4일 오후 충남 계룡대 정문 모습. 2021.6.4 연합뉴스
4일 오후 충남 계룡대 정문 모습. 2021.6.4 연합뉴스
격무에 시달리던 중 회식 자리에 참여했다가 쓰러져 사망한 공군 부사관의 유족이 유족연금을 지급하라며 국방부를 상대로 낸 소송에서 업무상 재해를 인정받았다.

서울행정법원 행정3부(유환우 부장판사)는 지난달 14일, 숨진 공군 부사관 A씨의 배우자가 국방부 장관을 상대로 낸 유족연금 지급거부 처분 취소 소송에서 원고 승소로 판결했다.

공군 한 부대에서 주임원사로 근무하던 A씨는 2018년 10월 17일 부대 회식에 참석했다가 의식을 잃고 쓰러져 병원에 옮겨졌으나 결국 숨졌다. 부검 결과, 사망원인은 관상동맥 박리증으로 나타났다. 공군본부 보통전공사상 심사위원회는 순직에 해당한다고 결론 내렸다.

그러나 국방부는 “공무와 A씨의 사망 사이에 인과관계가 인정되지 않는다”며 유족연금을 지급하지 않기로 했다. 이후 A씨 배우자는 국방부의 처분에 불복해 재심을 청구했고, 군인연금급여 재심위원회에서도 청구를 기각하자 작년 1월 행정소송을 냈다.

재판부는 “망인의 과로와 스트레스 등 업무상 부담으로 관상동맥박리증이 발생하거나 기존 질병이 현저하게 악화해 상병이 발생했다고 보는 것이 상당하고, 사망과 공무수행 사이 상당한 인과관계가 인정된다”며 A씨 유족의 손을 들어줬다.

전산 기록을 살펴보면 A씨는 사망 전 1주 동안 근무시간이 총 55시간 11분에 달했으며 사망 전 12주 동안에는 주당 평균 48.4시간가량을 근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재판부는 실제 A씨의 근무 시간은 이보다 훨씬 길었던 것으로 봤다. 재판부는 “망인의 업무가 매우 다양하고 조기 출근이나 야근하는 경우가 잦았던 점을 고려하면 컴퓨터 접속 시간을 기준으로 근무 시간을 산정하는 것이 더 적정하다”고 지적했다.

재판부는 또 “추석 연휴 기간에도 내내 출근한 점, 진급 심사를 위해 쉬는 날에도 자격증 시험에 응시한 점, 휴가를 자유롭게 쓰기 어려웠던 점 등을 고려할 때 A 씨가 단기적·만성적 과로로 인해 적지 않은 육체적·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았을 것으로 보인다”고 판단했다.

곽혜진 기자 demian@seoul.co.kr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