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무이탈체포조(D.P.·deserter pursuit) 등이 지난 5년간 해외로 도주한 탈영병 총 3명을 체포했다. 사진은 넷플릭스 드라마 ‘디피(D.P.)’ 한 장면(위 기사와 관련 없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9/30/SSI_20210930170043_O2.jpg)
![군무이탈체포조(D.P.·deserter pursuit) 등이 지난 5년간 해외로 도주한 탈영병 총 3명을 체포했다. 사진은 넷플릭스 드라마 ‘디피(D.P.)’ 한 장면(위 기사와 관련 없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9/30/SSI_20210930170043.jpg)
군무이탈체포조(D.P.·deserter pursuit) 등이 지난 5년간 해외로 도주한 탈영병 총 3명을 체포했다. 사진은 넷플릭스 드라마 ‘디피(D.P.)’ 한 장면(위 기사와 관련 없음)
최근 탈영병을 추적해 체포하는 육군 군사경찰을 다룬 넷플릭스 드라마 ‘디피(D.P.)’가 큰 인기를 얻으며 정치권도 군 내 가혹행위와 인권 문제에 관심을 보이고 있다.
30일 국회 국방위원회 소속인 강대식 국민의힘 의원이 국방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7년1월부터 2021년8월까지 최근 5년 동안 총 3명의 국외 탈영자가 발생했다.
특히 지난해에는 군 공금 4억3000만원을 횡령해 베트남으로 출국한 중사를 인터폴과 공조해 송환하기도 했다.
육군소속 A중사는 자신의 도박빚을 탕감하기 위해 작년 1월13일 공금을 들고 베트남으로 간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확인한 군사경찰은 베트남 인터폴을 통해 현지에서 신병을 확보, 같은 달 30일 베트남 공항에서 A중사를 체포했다.
강 의원은 “이대로라면 현역 장병의 국외 탈영 뿐만 아니라 국방기밀을 가지고 외국으로 도주하는 군 장병들 역시 제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다”이라며 “적어도 국방부 및 각군 등의 지휘관이 허가하지 않는 국외여행신청 장병들에 대해서는 원칙적으로 출국이 불가능하도록 법무부와 협조하여 이같은 국외 탈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해야한다”고 지적했다.
![넷플릭스 드라마 ‘디피(D.P.)’ 포스터(위 기사와 관련 없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9/30/SSI_20210930170102_O2.jpg)
![넷플릭스 드라마 ‘디피(D.P.)’ 포스터(위 기사와 관련 없음)](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09/30/SSI_20210930170102.jpg)
넷플릭스 드라마 ‘디피(D.P.)’ 포스터(위 기사와 관련 없음)
연도별로 보면 2017년 육해공군을 통틀어 발생한 탈영병은 170명이다.
2018년엔 127명으로 감소했고, 2019년 109명이었다. 그러나 올해는 8월 기준으로 벌써 89명이 군무이탈을 해 예년보다 늘어날 가능성도 있다.
사유별로는 복무 염증과 복무 부적응에 의한 탈영이 266건(51.3%)으로 절반 이상이다.
처벌 우려에 의한 탈영이 69건으로 13.3%를 차지했다. 경제문제, 신변비관, 가정문제, 이성문제 등이 뒤를 이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