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안전 행복 두배] <7>겨울철 안전운전 이렇게
눈에 보이지 않는 살얼음 빙판 위험브레이크 나눠 밟아 미끄럼 최소화
급가동·과속 금물… 방어운전이 최선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1/15/SSI_20211115180605_O2.jpg)
![연합뉴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1/15/SSI_20211115180605.jpg)
연합뉴스
도로 결빙 상태에서는 베테랑 운전자도 차를 마음대로 제어하기 어렵다. 눈길·빗길이나 얼어붙은 도로에서는 브레이크를 살짝만 밟아도 운전자가 예상할 수 없을 정도로 차량이 미끄러진다. 눈에 보이지 않는 살얼음 빙판, 이른바 ‘블랙 아이스’(Black ice)를 특히 조심해야 한다. 블랙 아이스는 도로 위에 녹았던 눈이나 내린 비가 아스팔트 틈새에 남았다가 다시 얇은 빙판으로 얼어붙는 현상이다. 얼음이 얇고 투명해 검은색의 아스팔트가 그대로 보이기 때문에 눈으로 봐서는 빙판길로 보이지 않는다.
블랙 아이스는 오전 6~8시에 많이 생긴다. 특히 지열이 닿지 않아 아스팔트 도로보다 지표면 온도가 2~3도 낮은 교량과 터널 출입구, 굽은 도로, 그늘진 도로에서 블랙 아이스 사고가 자주 발생한다. 블랙 아이스 우려가 있는 곳을 지날 때는 규정속도보다 50% 감속하는 것이 안전하다.
작은 접촉 사고라면 평소에는 단일 사고로 끝나지만 겨울 빙판길에서는 다르다. 작은 접촉사고가 2차, 3차 사고를 불러와 큰 사고로 이어진다. 빙판길에서는 충분한 거리를 두지 않으면 운전자가 전방에 일어난 사고를 발견하고 브레이크를 밟는 순간 또 다른 사고를 불러온다. 빙판길에서 브레이크를 세게 밟으면 타이어 회전이 멈추고 스티어링 휠이 아예 움직이지 않아 운전자가 자동차를 통제할 수 없다.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1/15/SSI_20211115180537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1/11/15/SSI_20211115180537.jpg)
타이어 점검도 필수다. 타이어의 마모상태를 점검하고 적정 공기압을 유지해야 한다. 겨울용 타이어를 장착하는 것도 사고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 미끄러짐에 당황하지 말고 핸들을 미끄러지는 방향으로 꺾는 것이 유리하다. 많은 운전자가 본능적으로 미끄러지는 반대 방향으로 핸들을 트는데 이러면 차가 중심을 잃는 스핀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빙판길에서는 불필요한 차선 변경을 하지 말고 브레이크를 밟을 때는 핸들을 꽉 잡아줘야 안전하다.
운행 중 폭설이 내리면 운전자는 전후좌우 시야가 가려 애를 먹는다. 많은 눈이 내리면 와이퍼로 눈을 제거하는데도 한계가 따르기 때문에 전방주시조차 어렵거나 와이퍼 작동이 불가능한 상태에 이르기도 한다. 눈이 전방 주시등에 달라붙어 야간 운전을 방해하기도 한다.
자동차 내부 환경도 사고를 불러오기 쉽다. 기온이 낮아 히터를 장시간 사용하다 보면 환기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졸음운전을 일으키기도 한다. 운전 중 자주 창문을 열어 환기를 해주고 스트레칭으로 몸을 풀어 졸음을 날려버려야 한다.
보행자 역시 눈이 내리면 시인성이 떨어지고, 빙판길에서는 자동차 접근에 빨리 피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길을 건널 때는 여유를 갖고 움직여야 한다.
하승우 한국교통안전공단 서울본부 안전관리처장은 15일 “겨울에는 도로 상황이 급변하고, 유사시 차량 통제가 어려워 운전자의 의지나 조심만으로 사고를 막기 어렵기 때문에 방어운전을 해야 한다”며 “출발 전 반드시 날씨를 챙기고, 차량을 점검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고 조언했다.
2021-11-16 1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