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오동·청산리전투의 영웅 홍범도 장군의 둘째 아들 홍용환(1897년∼미상) 선생에게 건국훈장 애족장이 추서된다. 홍범도 장군의 유해가 청산리대첩 101주년이자 서거 78년 만인 올해 8월 광복절을 계기로 카자흐스탄에서 국내로 봉환된 터라 더욱 뜻깊다.
국가보훈처는 제82회 순국선열의 날(11월 17일)을 앞두고 홍용환 선생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한다고 15일 밝혔다. 홍용환 선생은 대한독립군 총사령관 홍범도 장군을 도와 1910∼1920년대 중국과 러시아 국경을 넘나들며 무장투쟁을 주도했다. 1919년 11월 중국 길림성 왕청현 나자구에서 200명의 독립군을 지휘했고, 이듬해 3월 부친이 조직한 대한독립군 제4군 대장으로 활동했다.
보훈처는 이번에 홍 선생을 포함해 건국훈장 41명(애국장 4,애족장 37), 건국포장 19명, 대통령표창 74명 등 총 134명을 포상자로 선정했다.
국가보훈처는 제82회 순국선열의 날(11월 17일)을 앞두고 홍용환 선생을 독립유공자로 포상한다고 15일 밝혔다. 홍용환 선생은 대한독립군 총사령관 홍범도 장군을 도와 1910∼1920년대 중국과 러시아 국경을 넘나들며 무장투쟁을 주도했다. 1919년 11월 중국 길림성 왕청현 나자구에서 200명의 독립군을 지휘했고, 이듬해 3월 부친이 조직한 대한독립군 제4군 대장으로 활동했다.
보훈처는 이번에 홍 선생을 포함해 건국훈장 41명(애국장 4,애족장 37), 건국포장 19명, 대통령표창 74명 등 총 134명을 포상자로 선정했다.
2021-11-16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