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격리의무는 풀려도 실내마스크는 글쎄…남은 방역은 어떻게

격리의무는 풀려도 실내마스크는 글쎄…남은 방역은 어떻게

이현정 기자
이현정 기자
입력 2022-05-02 15:28
업데이트 2022-05-02 15: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첫날인 2일 서울 마포구 홍익대학교 인근에서 시민들이 마스크를 벗고 이동하고 있다.  2022. 5. 2.  박윤슬 기자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 해제 첫날인 2일 서울 마포구 홍익대학교 인근에서 시민들이 마스크를 벗고 이동하고 있다. 2022. 5. 2.
박윤슬 기자
코로나19 팬데믹의 상징이었던 실외 마스크 착용 의무가 2일부터 없어져 이제 주요 방역조치는 확진자 격리의무와 실내 마스크 착용만 남게 됐다. 두 방역조치가 모두 해제되면 코로나19 발생 이전의 일상을 대부분 회복할 것으로 보이나 아직 갈 길이 멀다는 전망도 만만치 않다.

손영래 중앙사고수습본부 사회전략반장은 2일 브리핑에서 “실내마스크까지 해제하려면 변이를 포함해 전 세계적인 유행이 상당히 안정화되면서 엔데믹(풍토병으로 굳어진 감염병)의 조건이 충분히 충족돼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 유행이) 안정되는 게 중요한데, 현재는 중국을 비롯해 넘어야 할 ‘큰 산’이 남아 (엔데믹에 대한) 판단이 쉽지 않다”면서 “우리나라의 확진자, 위중증 규모도 줄어 전파의 위험성을 크게 우려하지 않을 정도의 상황은 돼야 실내 마스크를 검토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앞서 실내 마스크 의무를 대부분 해제한 미국, 프랑스, 독일 등에서 재확산세가 꺾이지 않고 있다. 가을 재유행도 예고돼 실내 마스크 의무는 없애기 어려운 상황이다. 엄중식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오미크론 하위 변이가 다른 나라에서 유행을 주도하는 상황을 보면 우리나라도 또 유행할 가능성이 크다”고 경고했다.

미국은 전파력이 강한 오미크론 하위변이 ‘BA.2.12.1’ 확산세가 심상치 않고, 남아프리카공화국에선 백신 면역 회피력이 있는 BA.4와 BA.5 변이 확산으로 확진자가 급증하고 있다. 여름 휴가철 해외여행이 늘면 국내 유입은 시간문제다.

천은미 이대목동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계속 출몰하는 새로운 변이에 대처할 방법이 없다면 마스크를 쓸 수밖에 없다”면서 “확진자가 중증으로 악화하지 않도록 의료체계를 잘 갖추고 언제든 치료제를 쓸 수 있다면 모를까 지금 실내마스크 해제를 논의하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지적했다.

확진자 7일 격리의무는 오는 23일 이후 ‘권고’로 전환될 가능성이 있으나 대통령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이를 ‘새 정부 출범 100일 이내 추진과제’에 포함해 8월쯤 풀릴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손 반장은 확진자 격리 의무 해제 시점에 대해 “확진자, 위중증·사망 감소세가 안정적으로 가느냐, 동네 병·의원 중심의 코로나19 일반의료체계가 충분히 안착하느냐를 중점적으로 고려해 판단하겠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격리의무 해제와 실내마스크만큼은 최후까지 남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엄 교수는 “마스크와 격리는 가장 기본적인 방역인데, 이게 깨지면 지역 사회 전파를 막을 방법이 없다”면서 “유행이 아주 천천히 감소해 사망자가 일정 규모로 계속 나오고 안 겪어도 될 희생을 치러야 한다”고 우려했다.

3월 방역패스, 4월 사회적 거리두기, 5월 실외마스크 릴레이 해제로 이미 방역 경각심은 느슨해졌다. 격리의무마저 풀면 유행을 통제할 수단이 사라진다.

대한의사협회 코로나19 대책전문위원회는 이날 대국민 호소문에서 코로나19 감염에 대한 경각심까지 떨어지게 될까 걱정하면서 “실외나 개방된 공간이라도 코로나19 감염 전파력이 완전히 사라지는 것은 아니니 되도록 1m 정도의 물리적 공간을 확보해 전염 가능성을 최소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현정·김주연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선택은?
국민연금 개혁 논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 산하 공론화위원회는 현재의 보험료율(9%), 소득대체율(40%)을 개선하는 2가지 안을 냈는데요. 당신의 생각은?
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로 각각 인상(소득보장안)
보험료율 12%로 인상, 소득대체율 40%로 유지(재정안정안)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