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ASF 확산 방지 및 환경 오염상황 전면 조사

ASF 확산 방지 및 환경 오염상황 전면 조사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3-04-03 10:49
업데이트 2023-04-03 10: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 발생 35곳으로 급증
발생지역 농경지 토양, 하천수, 매몰지 오염도 조사

이미지 확대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지역이 전국 35곳으로 확대된 가운데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이 ASF 확산 차단 및 환경 오염 방지를 위해 발생지역에서 환경 조사를 실시한다. 포획 야생멧돼지. 서울신문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지역이 전국 35곳으로 확대된 가운데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이 ASF 확산 차단 및 환경 오염 방지를 위해 발생지역에서 환경 조사를 실시한다. 포획 야생멧돼지. 서울신문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 및 환경 오염 방지를 위해 발생지역에 대한 조사가 진행된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은 3일 최근 ASF가 발생한 강원 원주·충북 충주·경북 문경 등 10개 시군을 대상으로 3주간 환경조사를 실시한다고 밝혔다. 환경조사는 농경지·매몰지·하천 등에서 시료를 채취해 바이러스가 있는지 검사해 조치한다. 2019년 3곳이던 야생멧돼지 ASF 발생지역은 2020년 11곳, 2021년 23곳, 2022년 32곳, 올해 3월 기준 35곳으로 증가했다.

본격적인 영농철에 앞서 농경지 주변 약 160개 지점에서 토양 등을 채취하고 바이러스를 분석한다.

집중호우에 대비 관계기관과 협업을 통해 43개 하천수 조사도 이뤄진다. 하천수 조사는 강원 남부와 충북·경북 등 최근 발생지역 31개 지점은 야생동물질병관리원에서, 경기와 강원 북부 등 기존 발생지역 12개 지점은 농림축산검역본부에서 시료를 채취한다. 시료 분석은 야생동물질병관리원이 총괄한다.

16개 댐으로 유입되는 야생멧돼지 등 폐사체에 대한 감시에도 나선다. 한국수자원공사·한국수력원자력 등 관련기관과 협조해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및 육안으로 상황을 확인한다. 바이러스가 검출되거나 폐사체가 발견되면 지방자치단체와 합동으로 폐사체를 제거하고 출입 통제 및 소독 등 방역 조치를 진행할 예정이다.

여름철 집중호우로 훼손·유실 등의 우려가 있는 매몰지 136곳에 대해서는 시료 조사가 이뤄진다. 시료 분석 결과 조치가 필요한 매몰지는 ASF 표준행동지침(SOP)에 따라 이설 또는 소멸시킬 방침이다. 지난해는 81곳에서 조사가 이뤄졌다.
세종 박승기 기자
많이 본 뉴스
내가 바라는 국무총리는?
차기 국무총리에 대한 국민 관심이 뜨겁습니다. 차기 국무총리는 어떤 인물이 돼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대통령에게 쓴 소리 할 수 있는 인물
정치적 소통 능력이 뛰어난 인물
행정적으로 가장 유능한 인물
국가 혁신을 이끌 젊은 인물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