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광복의 그날을 새기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8/15/SSC_20230815023950_O2.jpg)
독립기념관·문화재청 제공
![대한민국, 광복의 그날을 새기다](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8/15/SSC_20230815023950.jpg)
대한민국, 광복의 그날을 새기다
일제강점기 독립운동가들이 목숨을 바쳐 가며 가슴에 품었던 태극기들은 모양도 색깔도 다르지만 그 의미는 하나, 조국의 광복이었다. 태극기들은 묻는다, 광복 78년의 오늘을 사는 후손들에게. 당신에게 조국은, 대한민국은 어떤 의미인지. 나라를 빼앗긴 선조들이 꿈꿨던, 어렴풋한 미래와 다르지 않은지를. 맨 왼쪽은 전남 구례에서 의병을 일으킨 고광순이 사용한 ‘불원복’(不 復) 태극기. 국권 수호 의지를 담았다. 다음은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대형 태극기로 가로 189㎝·세로 142㎝ 크기다. 임시정부와 임시의정원의 회의 및 행사 때 게양된 것으로 보인다. 그 옆은 도산 안창호 선생의 유품인 ‘김구 서명 태극기’. 김구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회 주석이 1941년 3월 16일 독립 의지를 적어 친분이 있던 벨기에 신부 매우사(梅雨絲·샤를 미우스)에게 주었고, 이후 매우사가 안 선생 부인에게 전달한 후 후손들이 보관하다 독립기념관에 기증했다. 김구 주석은 서명문에서 광복군을 도와줄 것을 강하게 호소했다. 맨 오른쪽은 광복군 제3지대에서 활동하던 문웅명 애국지사가 간직한 태극기로 독립에 대한 수많은 민초들의 염원이 빼곡히 담겨 있다.
독립기념관·문화재청 제공
독립기념관·문화재청 제공
맨 왼쪽은 전남 구례에서 의병을 일으킨 고광순이 사용한 ‘불원복’(不 復) 태극기. 국권 수호 의지를 담았다. 다음은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대형 태극기로 가로 189㎝·세로 142㎝ 크기다. 임시정부와 임시의정원의 회의 및 행사 때 게양된 것으로 보인다. 그 옆은 도산 안창호 선생의 유품인 ‘김구 서명 태극기’. 김구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무위원회 주석이 1941년 3월 16일 독립 의지를 적어 친분이 있던 벨기에 신부 매우사(梅雨絲·샤를 미우스)에게 주었고, 이후 매우사가 안 선생 부인에게 전달한 후 후손들이 보관하다 독립기념관에 기증했다. 김구 주석은 서명문에서 광복군을 도와줄 것을 강하게 호소했다. 맨 오른쪽은 광복군 제3지대에서 활동하던 문웅명 애국지사가 간직한 태극기로 독립에 대한 수많은 민초들의 염원이 빼곡히 담겨 있다.
독립기념관·문화재청 제공
2023-08-15 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