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나주 광역철도 효천역 경유 ‘가닥’…시·도 갈등 봉합

광주~나주 광역철도 효천역 경유 ‘가닥’…시·도 갈등 봉합

홍행기 기자
홍행기 기자
입력 2024-01-25 18:04
업데이트 2024-01-25 18: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남도 “광주지역 노선은 광주가 결정하는 것이 맞아”
광주시 “타당성조사 중지 이후 경제성 제고 방안 마련”

이미지 확대
호남권 첫 광역철도 노선도. 광주광역시 제공
호남권 첫 광역철도 노선도. 광주광역시 제공
광주∼나주 광역철도의 ‘광주 효천역 경유’를 놓고 빚어졌던 광주시와 전남도의 갈등이 봉합 국면에 들어섰다. 광주시의 ‘효천역 경유’ 요구를 전남도가 공식 수용한데 따른 것이다.

25일 광주시에 따르면, 전남도는 지난 24일 공문을 보내 효천역 경유 등 광주~나주 광역철도 노선과 관련한 의견을 제시했다.

전남도는 이 공문에서 “광주 지역 노선은 광주시가 결정하는 것이 맞다고 본다”며 “다만 경제성 향상 방안 마련을 위해 시간이 필요하면 (예비타당성 조사의) 기간 연장 또는 일시적 정지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광주시는 이에 따라 기존의 노선을 대상으로 진행중인 예비타당성 조사를 중지해 줄 것을 조만간 국토부에 요청할 예정이다. 이어 자체용역 등을 통해 효천역을 경유하는 노선으로 변경하는데 따른 ‘비용 대비 편익(B/C)을 분석·평가하고, 이를 토대로 경제성을 끌어올릴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 국토부에 제출한다는 계획이다.

광역철도 사업은 광주시와 전남도, 나주시 등 3개 참여 지자체가 수천억원대의 건설 사업비와 건설 후 운영비를 분담해야 하는 구조여서 지자체 간 합의가 이뤄지지 않으면 추진할 수 없는 구조다.

광주시는 지난해 9월부터 전남도 등을 상대로 “인구 3만명의 효천역을 경유할 경우 광역철도 이용률이 높아지는 것은 물론 나주 혁신도시와 광주 효천지구, 상무지구 주민들의 이용 편의가 대폭 향상된다”며 “새 노선이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할 수 있도록 경제성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요구해 왔다.

하지만 전남도는 “노선이 변경될 경우 사업비가 기존의 1조 5192억원보다 2676억원 증가하는 데다 경제성도 0.78에서 0.63으로 낮아지는 만큼 일단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뒤 나중에 노선변경을 검토하자”고 주장해 왔다.

한편, 광주~나주광역철도는 제4차 국가철도망 계획(2021~2025)에 반영된 국책사업으로, 예상 사업비는 1조5192억원이다. 광주 상무역, 나주 남평읍, 나주 혁신도시, KTX 나주역을 연결하는 총길이 26.46㎞의 복선 전철을 건립하는 내용으로 예비 타당성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광주 홍행기 기자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