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MR 보조기기 지원센터 2028년 부산에…미래 원전 기반 구축

SMR 보조기기 지원센터 2028년 부산에…미래 원전 기반 구축

정철욱 기자
정철욱 기자
입력 2024-04-30 14:39
업데이트 2024-04-30 14:3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부산시청 전경. 부산시 제공
부산시청 전경. 부산시 제공
미래형 원전으로 주목받는 소형모둘형원자로(SMR)와 관련한 소재, 부품, 장비 제작을 지원하는 센터가 부산에 들어선다.

부산시는 산업통상자원부가 주관한 ‘SMR 보조기기 제작 지원센터 구축 사업’ 공모에 최종 선정됐다고 30일 밝혔다. 시는 한국기계연구원, 부산테크노파크, 한국해양대학교 산학협력단, 한국원자력기자재진흥협회와 컨소시엄을 이뤄 공모에 참여했다.

SMR은 하나의 용기에 증기발생기, 냉각재 펌프, 가압기 등 주요 기기를 모두 담아 일체형으로 만든 전기 출력 300㎿ 이하 원자로다. 대형 원자로에 비해 건설 기간이 짧고, 안정성이 뛰어난 것으로 평가된다.

원자로의 주기기는 한국수력원자력, 두산에너빌리티 등 대기업이 개발할 수 있다. 하지만 밸브와 펌프, 케이블, 계측기 등 보조기기는 중소·중견기업이 제작해야 하는데, 독자적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장비를 구축하는 데 한계가 있다.

SMR 보조기기 제작 지원센터는 중소·중견기업이 보조기기를 원활하게 개발, 제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곳이다. 보조기기 제작을 위한 장비를 갖춰 기업들이 공동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관련 기술 연구·개발, 인력 양성, 등을 지원한다.

이번 공모 선정에 따라 시는 2028년까지 국비 97억원, 시비 186억원, 민자 12억 원 등 총 295억원을 투입해 강서구 미음 연구개발단지에 SMR 보조기기 제작 지원센터를 건립한다.

시는 센터가 운영에 들어가면 SMR 보조기기 제작 기술을 국산화하고, 기계·조선·해양플랜트 등에도 관련 기술을 적용해 2035년이면 생산 유발 650억원, 부가가치 유발 284억원의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부산에는 전국 원전 관련 기업의 14.5%인 144개 기업이 있고, SMR 관련 기술을 고리 원전을 중심으로 원전 해체 및 환경복원, 전력 등 관련 산업과 융합할 수 있어 시너지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

부산시 관계자는 “이번 공모 선정으로 SMR 산업이 부산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전후방 산업도 연쇄 발전해 유의미한 파급효과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라며 “SMR 소재·부품·장비 벨트를 구축할 수 있도록 중소·중견기업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부산 정철욱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