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 공장 반경 3㎞까지 가스 퍼져… 주민들 의식 잃고 길가에 쓰러졌다

새벽 공장 반경 3㎞까지 가스 퍼져… 주민들 의식 잃고 길가에 쓰러졌다

이영준 기자
이영준 기자
입력 2020-05-07 23:02
업데이트 2020-05-08 09:0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인도 LG화학 공장 가스 유출

대부분 잠든 시간 사고… 피해 키워
탱크 내 화학약품 자연 기화 탓 추정
이미지 확대
7일(현지시간) 인도 남부 안드라프라데시주 비샤카파트남의 LG폴리머스인디아 공장에서 누출된 가스를 흡입해 쓰러진 주민들이 트럭에 실려 인근 병원으로 후송되고 있다.  비샤카파트남 로이터 연합뉴스
7일(현지시간) 인도 남부 안드라프라데시주 비샤카파트남의 LG폴리머스인디아 공장에서 누출된 가스를 흡입해 쓰러진 주민들이 트럭에 실려 인근 병원으로 후송되고 있다.
비샤카파트남 로이터 연합뉴스
LG화학의 인도 공장 ‘LG폴리머스인디아’의 가스 유출 사고는 새벽 2시 30분쯤 발생했다. 공장에서 가스가 유출됐음을 알리는 사이렌 소리가 울렸지만 공장 주변 주민들은 대부분 곤히 잠든 상황이어서 즉각 대피하지 못했다. 유출 가스는 공장 반경 3㎞에 넓게 퍼져 최소 5개 마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알려졌다.

7일 인도 언론에 따르면 공장 인근 마을은 순식간에 공포의 공간으로 변했다. 의식을 잃고 길가에 쓰러져 있는 주민이 잇따랐다. 구조대는 환자에게 응급조치를 하거나 의식을 잃은 주민을 업고 병원으로 향했다.

LG폴리머스인디아는 폴리스타이렌(PS) 수지를 생산하는 공장이다. 유출된 가스는 ‘스타이렌 가스’로 추정되고 있다. 관련 업계 관계자는 “탱크에 있던 화학약품이 자연 기화돼 유출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폴리스타이렌 수지는 일상생활에서 흔히 접하는 스티로폼이다. 스티로폼이 고온으로 가열될 때 생성되는 탄화수소 가운데 대표적인 물질이 스타이렌이다. 스타이렌은 플라스틱과 고무를 만드는 데 사용되는 화학가스로, 조금만 흡입해도 신경이 마비될 만큼 독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고온에서 기체로 변해 호흡기로 유입되기 때문에 방독면이 아닌 마스크로는 차단할 수 없다고 한다. 스타이렌은 또 국제암연구소(IARC)가 지정한 독성 발암물질이기도 하다. 2017년 생리대 파동 당시 검출됐던 발암물질도 스타이렌이었다. LG화학 측은 “누출된 가스를 흡입하면 구토 및 어지럼증을 유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인도 당국은 LG화학 측이 장기간 휴업 후 공장을 재가동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현지의 한 관계자는 “비숙련 노동자가 유지보수 작업 과정에서 실수를 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공장은 이번 주부터 일부 지역에 대해 코로나19에 따른 이동 제한령이 완화되면서 지난 6일 재가동을 시작했다.

LG화학 측은 “공장의 가스 누출은 현재 통제된 상태”라며 “주민과 임직원의 보호를 위해 관계기관과 함께 필요한 조치를 최대한 취하겠다”고 밝혔다. LG화학은 1961년 설립된 인도 최대 폴리스타이렌 수지 제조업체인 힌두스탄 폴리머를 1996년 인수하고 사명을 LG폴리머스인디아로 변경했다.

이영준 기자 the@seoul.co.kr
2020-05-08 10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