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호열 서원대 교수, 비상교육 등 6종 분석 논문서 지적
중학교 사회2 교과서에서 독도 관련 오류가 무더기로 발견됐다. 지리·생태적 특성에 관한 단순 오류부터 영토선과 주민 거주 여부처럼 외교적으로 우리에게 불리할 만한 대목도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송 교수는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일본의 도발을 저지하기 위해 학계는 지속적으로 연구해야 하고, 교육계는 이 성과를 정밀하게 가공해 차분하게 교육해야 한다”면서 “하지만 아직 독도 및 독도 교육에 대한 연구 성과가 미흡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경제적, 생태적 가치뿐 아니라 독도의 영역적 가치, 군사·안보적 가치를 교과서에 중요하게 기술해야 한다”고 총평했다.
교과서 집필진이 독도에 대해 많은 분량(4~7쪽)을 할애하고 비교적 충실하게 설명하려고 노력했지만 6종 교과서를 막론하고 크고 작은 오류가 나타났다고 송 교수는 지적했다. 비상교육은 독도 면적을 18만 7453㎡로 서술해 최근 국토지리정보원이 고시한 면적(18만 7554㎡)과 100㎡ 정도 차이를 보였고 독도를 표기한 지도에서는 해상 국경선을 병기하면서 우리 영해 면적을 줄여 나타낸 것으로 확인됐다. 좋은책신사고는 “독도가 울릉도보다 250만년 앞서 형성됐다”고 했지만 210만년 앞서 형성됐다는 게 정설이다. 이 밖에 독도에 서식하는 새 종류가 139종이지만 100여종으로 잘못 쓰거나 서식하는 곤충 종 수를 실제 129종과 다르게 93종으로 쓴 교과서도 있었다.
일본이 역이용할 빌미가 될 수 있는 오류도 발견됐다. 두산동아와 미래엔은 독도를 천연기념물로 최초 지정한 연도를 1999년이라고 했지만 천연기념물 최초 지정은 실제로 1982년에 이뤄졌다고 송 교수는 설명했다. 또 지학사는 독도를 “사람이 살지 않는 섬”으로 묘사했는데 김성도, 김신열씨 부부 등 10명이 독도를 주민등록 주소지로 쓰고 있다. 천연기념물 지정이나 주민등록은 독도에 대한 한국 정부의 지배권을 보여주는 근거다.
독도 주변 자원을 과장한 기술이 6종 전체에서 고르게 발견됐다. 깊은 바다 전역에서 개발이 가능한 ‘해양심층수’나 울릉도 주변에 매설된 ‘메탄 하이드레이트’를 독도의 부존자원으로 설명했다.
교과서 저자들은 2007년 독도 교육이 집필 기준에 포함된 이후 개편이 잦아 교과서 집필 기간이 몇 개월에 불과했고 기본적인 독도 관련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오류가 많았다고 설명했다. 좋은책신사고 저자인 김창환 강원대 지리학과 교수는 “역사적인 부분을 제외한 독도 연구는 초보 단계여서 교과서 집필에 참고할 학계 연구 자료가 부족하다”고 호소한 뒤 “지적된 오류를 검증해 교과서 내용을 수정하겠다”고 말했다.
홍희경 기자 saloo@seoul.co.kr
2014-01-11 6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