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학기 코앞에서 ‘문자 해고’…다문화 강사 내친 서울교육청

새 학기 코앞에서 ‘문자 해고’…다문화 강사 내친 서울교육청

오세진 기자
입력 2020-02-25 23:40
업데이트 2020-02-26 04:3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배정 기준 강화… 9명 갑작스레 실직

유치원과 초·중·고교에 배정돼 근무하던 80명의 다문화 언어강사 가운데 9명이 갑작스런 실직을 당했다.

서울교육청은 2009년부터 외국 출신의 다문화 언어강사를 1년 계약직으로 채용한 후 희망하는 유치원과 각급 학교에 배치하고 있다. 25일 서울교육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으로 다문화 언어강사 79명이 유치원 2곳과 초등학교 65곳, 중학교 5곳, 고등학교 4곳 등에 배치됐다.

‘다문화 학생 비중이 큰 학교에 우선 배치한다’는 것이 그동안의 방침이었지만 서울교육청은 올해 기준을 강화했다. 다문화 학생 비율과 상관없이 한국어로 의사소통이 어려운 학생과 ‘출신국이 같은’ 다문화 언어강사만 두기로 한 것이다.

그 결과 중도입국 학생이 없거나 다문화 언어강사와 출신국이 같은 학생이 없는 학교 등에서 일본 출신 6명, 몽골 출신 2명, 인도네시아 출신 1명 등 총 9명의 다문화 언어강사가 일자리를 잃었다.

다문화 언어강사로 8년 이상 일한 인도네시아 출신의 안나 쿠수마(53)씨는 “갑자기 ‘학교에 인도네시아 출신 학생이 없어서 배정할 수 없다’는 교육청의 설명이 이해되지 않는다”고 토로했다.

서울교육청 관계자는 “중도입국 학생 입장에서 봤을 때 주변 환경이 모두 낯선 상황에서 출신국이 같은 다문화 언어강사의 교육과 상담을 받는 것이 정서 안정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오세진 기자 5sjin@seoul.co.kr
2020-02-26 13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