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무영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우리나라는 물관리 정책이 홍수에 맞춰져 있어 태풍과 폭우가 오면 빗물을 빨리 하천으로 내버리도록 인프라가 조성돼 있습니다. 그런데 최근 가뭄 피해도 심각해졌습니다. 이런 문제를 빗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한무영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
저수판과 텃밭의 흙 사이에는 부직포를 깔아 흙의 유실을 막았다. 연구원과 관악구 도시농업네트워크 소속 시민들은 매년 감자, 고구마, 배추, 무 등을 가꿔 수확하고 있다. 통상 도시 농장이나 옥상 정원의 경우 비가 올 때 잉여 빗물을 모두 흘려보내는 것을 보고, 빗물을 가두는 저수판을 텃밭 아래에 설치했다.
“2013년 7월 12일 20시간 동안 총 239㎜의 폭우가 내렸는데 빗물 텃밭이 있는 건물은 40t의 빗물을 저장했습니다. 폭우가 내리는 동안 일반 건물은 최대 분당 50㎜의 빗물을 쏟아냈지만, 텃밭이 있는 건물은 최대 분당 20㎜의 빗물을 내보냈죠. 텃밭이 폭우 때는 물을 가두고 가뭄 때는 가둔 물을 사용하는 작은 댐 역할을 하는 겁니다.”
1300㎜의 연평균 강수량이 여름에 집중돼 있고, 최근 아열대 기후가 나타나면서 한 교수는 이런 식으로 빗물을 활용할 것을 제안했다.
또 논이나 밭에 둠벙을 파 빗물을 활용하는 방법도 소개했다. 둠벙은 빗물 등을 저장하도록 논 가장자리에 파 놓은 작은 웅덩이지만 대규모 관개시설이 조성되면서 사라지고 있다.
“빗물을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논이 급격히 사라지는 것도 농촌에 홍수와 가뭄이 심화되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농민들에게 ‘물 관리 값’ 차원에서 지원금을 줘 논을 일정 규모 유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박기석 기자 kisukpark@seoul.co.kr
2017-07-01 11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