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안동댐 왜가리 집단폐사, 원인은 여전히 안갯속

경북 안동댐 왜가리 집단폐사, 원인은 여전히 안갯속

오경진 기자
오경진 기자
입력 2020-05-14 09:18
업데이트 2020-05-14 09: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경북 안동댐 상류에서 왜가리가 집단으로 폐사하는 사례가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데 대해 환경당국이 원인 분석에 나섰지만 직접적인 원인을 밝히지는 못했다.

대구지방환경청과 경북대 수의과대 연구팀은 “안동댐 왜가리 폐사 원인을 분석한 결과 질병이나 중금속이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됐다”고 13일 밝혔다.

경북대 수의대 연구팀은 2018년 12월부터 지난해 10월까지 11개월간 안동댐과 봉화, 영주 등에서 수거한 왜가리 11개체를 대상으로 부검 등 정밀 분석을 실시했다.

병원체 검사 결과 대장균, 살모넬라, 가금 콜레와 같은 세균성 질병 감염은 없었다. 조류인플루엔자바이러스(AI)도 확인되지 않았다. 또 수은이나 납, 카드뮴 등 9개 중금속 분석 결과를 보면 카드뮴과 비소는 아예 검출되지 않았으며 그 외 중금속이 미량 검출된 데 그쳤다. 연구팀에 따르면 검출된 중금속의 농도는 왜가리 생리 활성에 비정상적 요인으로 작용할 만한 수치가 아니었다.

심장이나 간, 폐 등 장기들도 모두 정상이고 이상 소견은 없었다. 폐사한 일부 개체에서 관찰된 날개, 다리 부분 출혈과 머리 부분 천공은 둥지에서 떨어지거나 다른 동물의 공격으로 추정됐다.

연구팀은 왜가리의 평균수명은 약 5년으로 출생 후 2세까지 살아남을 확률이 26%에 그친다는 문헌조사 결과를 제시했다. 대구환경청 관계자는 “앞으로 왜가리 번식지 보호를 위해 안동시와 협의해 보전대책을 마련할 계획이다”고 말했다.

오경진 기자 oh3@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