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규모 수상태양광 착수, 2021년 준공

국내 최대 규모 수상태양광 착수, 2021년 준공

박승기 기자
박승기 기자
입력 2020-12-22 13:10
업데이트 2020-12-22 13: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민참여형으로 건설단계부터 운영까지 참여
연간 6만명이 사용할 수 있는 전기 생반 능력

연간 6만명에 사용할 수 있는 국내 최대 규모 수상태양광 시설이 조성된다.
이미지 확대
국내 최대 규모 수상태양광 시설로 주민참여형으로 진행되는 경남 합천댐 수상태양광 사업이 21일 착공한 가운데 작업자들이 수상태양광 구조체를 조립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 제공
국내 최대 규모 수상태양광 시설로 주민참여형으로 진행되는 경남 합천댐 수상태양광 사업이 21일 착공한 가운데 작업자들이 수상태양광 구조체를 조립하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 제공
22일 한국수자원공사(수공)에 따르면 지역주민들이 건설단계부터 완공 이후 운영과 수익 배분에 참여하는 ‘주민참여형’ 사업으로 조성하는 경남 합천 합천댐 수상태양광 사업이 21일 착공했다.

합천댐 수상태양광 사업은 연간 약 6만 명이 사용할 수 있는 41㎿ 설비용량으로 2021년 준공 예정이다. 총사업비 924억원이 투입되며 합천의 상징인 ‘매화’를 형상화한 형태로 국내 기업인 한화큐셀㈜이 시공을 맡았다.

수상태양광 설비 공사에 필요한 토목·전기분야 인력을 지역에서 우선 고용했고 완공 후 20년간 필요한 유지보수 인력도 지역주민으로 채용할 계획이다. 사업에 투자한 주민에게는 20년간 참여 비율에 따라 4~10%의 고정 이자수익을 배분한다.

수공은 주민참여형 재생에너지사업을 통해 지역의 고용 창출과 소득증가, 관광인프라 구축 등 상생 사례로 만든다는 계획이다.

박진호(한국에너지학회 수석부회장) 영남대 교수는 “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의 어려움 중 하나인 지역사회와의 갈등을 해소하고 서로 상생할 수 있는 모범적인 대안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수공은 정부의 탄소중립 목표인 2050년보다 빠른 2035년까지 달성을 위해 10.5GW 규모의 수상태양광을 추가 보급키로 했다.

박재현 수공 사장은 “탄소중립 실현을 위해서는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가속화되어야 하는 한편 지역사회와 상생이 동반되어야 한다”며 “주민참여형 수상태양광 사업을 통해 에너지 전환의 모범적인 사례를 만들어 내겠다”고 밝혔다.

대전 박승기 기자 skpark@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