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 닥터] 감기 아닌데 고열 요로감염 의심을

[굿모닝 닥터] 감기 아닌데 고열 요로감염 의심을

입력 2010-03-08 00:00
업데이트 2010-03-08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얼마 전, 두 돌이 채 안 된 어린 아이를 안은 엄마가 진료실을 찾았다. 아이의 잦은 고열 때문에 엄마의 걱정은 이만저만이 아니었다. 감기도 잘 걸리지 않아 기침·콧물 걱정이 없던 아이가 잦은 고열로 병원을 찾은 것이 처음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동안 진료를 받아왔던 소아청소년과에서는 ‘요로감염’으로 진단했다는데, 살펴보니 원인이 ‘방광요관역류’였다.

흔히 아이를 키우는 엄마들은 첫돌 전 아이에게 열이 나면 대부분 감기나 장염 등을 의심한다.

그런데 감기 증상을 보이지 않으면서도 열이 나는 아이들이 있다. 이때는 ‘요로감염’을 의심해 봐야 한다. 소아에게 요로감염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질환은 방광요관역류로, 방광의 소변이 비정상적으로 요관과 신장으로 역류하는 질환이다. 이때 방광에서 감염된 소변이 신장으로 거슬러 올라가면 신장까지 감염될 수 있다. 때문에 조기에 진단해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신장 손상과 합병증 예방을 위해 중요하다.

치료는 연령과 역류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다. 가벼운 역류는 자연적으로 해소되기도 하나, 역류가 심하거나 양쪽 방광에서 발생한 경우, 고령이거나 진단 후 오랫동안 역류가 해소되지 않았다면 자연 해소를 기대하기 어렵다.

자연스러운 호전이 예상되는 경우라면 예방적으로 항생제를 처방하면서 경과를 보지만 역류가 심해 항생제 복용에도 불구하고 요로감염이 재발한다면 수술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수술은 내시경을 이용해 간단하게 비침습적으로 이뤄진다. 비침습적인 내시경 수술은 예방적 항생제 치료와 개복수술에 의존했던 방광요관역류 치료에 있어 획기적인 방법으로 자리잡았다. 그렇다고 모든 아이를 내시경으로 치료할 수 있는 건 아니다. 의사가 아이의 상태를 보고 판단할 일이지만 제때 치료하면 대부분 별 문제 없이 치료가 된다.

이 형 래

경희대 동서신의학병원

비뇨기과 교수
2010-03-08 25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