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재억 기자의 건강노트] 오수(午睡)

[심재억 기자의 건강노트] 오수(午睡)

입력 2010-06-21 00:00
업데이트 2010-06-21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제가 자란 시골 마을에서 가장 시원한 곳은 뒤란의 토담 끝 샛문에 잇닿은 고샅길 대숲 그늘이었습니다. 요새 규격으로 말하자면 큰 자가용 한 대는 족히 들고날 만한 고샅길에는 깨진 기와편이 깔려 푸른 이끼가 자라고 있었고, 빽빽한 대숲에서는 뱁새 무리가 떼를 지어 진종일 짹짹거렸습니다.

그 대숲 초입에는 밑동이 고목이 된, 느티나무보다 큰 땡감나무가 있었고, 그 아래 잘 다듬은 대살로 바닥을 깐 널찍한 대살평상이 놓여 있었습니다. 어찌나 바람이 잘 드는지 어른들은 한여름에 이곳에 누워있으면 세상이 내 것 같다고들 말하곤 했지요.

이 무렵, 평상에서 뒹굴다가 채반에 담아낸 갓 삶은 감자 몇 알 통소금에 찍어 먹다보면 스르르 눈이 감겨 이내 단잠에 빠지곤 했습니다. 콧잔등을 스치는 바람과 새소리, 댓닢 사운대는 소리를 들으며 낮잠을 즐기다 잠결에 어머니가 부르는 소릴 듣습니다. 해가 뉘엿 하니 얼른 소 먹일 꼴 한 망태 베어오라는 뜻입니다.

부르는 소리만 들어도 까닭이 집히는 삶, 그런 시절이 우리에게도 있긴 있었습니다. 배통아지 긁적이며 평상에서 일어나면 심신이 쇄락해 세상에 그런 낙원이 없었는데, 그땐 그걸 모르고 살았지요.

생각해 보면 몸은 거짓말을 모릅니다. 마음이야 이것저것 재느라 생각과 달리 안색을 바꾸게도 하지만 몸은 제 속내 감출 줄 모르니 솔직하달밖에요. 사는 일 아무리 바빠도 몸이 잠을 부르면 어거지로 버티지 말고 잠깐 눈 좀 붙인 뒤 하던 일 하세요. 그게 건강하게 사는 길입니다. 스트레스 많은 세상입니다. 그런 짧고 달착지근한 오수 한토막이 어쩌면 당신의 몸과 마음을 바꿔줄지도 모릅니다.

jeshim@seoul.co.kr
2010-06-21 26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