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모닝 닥터] 자연포경 흉내 ‘위험’

[굿모닝 닥터] 자연포경 흉내 ‘위험’

입력 2011-09-26 00:00
업데이트 2011-09-26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얼마 전 진료실에서 만난 20대 남성 환자 이야기다. 엉거주춤한 걸음걸이로 진료실에 들어선 그는 자리에 앉으라고 권하자 아주 불편한 자세로 의자에 걸터앉았다. 그의 사연을 들었다.

그는 자연 포경을 흉내내기 위해 마치 포경수술을 한 것처럼 포피를 젖혀 말아두었는데, 웬일인지 점점 귀두부가 부어오르면서 통증이 심해졌다. 고통이 심해 얼마 못 가 포피를 다시 예전처럼 되돌리려 했으나 아프기만 할 뿐 그게 잘되지 않아 동네 병원엘 갔더니 “수술이 필요할 것 같으니 큰 병원에 가보라.”고 하더란다. 침대에 눕히고 살펴본 나는 내심 놀랐다. 뒤로 젖혀 놓은 포피는 이미 좁아져 있고 귀두를 포함한 윗부분이 심하게 부어 있었다. 살펴보니 좁아진 포피 부위에 벌써 괴사가 진행되고 있었다. 흔히 감돈포경이라고 부르는 질환 상태로, 자연 포경에 대한 막연한 동경이 부른 화였다.

늦은 감이 없지 않았지만 응급수술을 시행했다. 지체하다 괴사가 심해지면 음경을 절단하는 상황이 올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갓 20대인 환자가 겪기에는 너무나 심각한 고통 아니겠는가. 감돈포경의 경우 부종이 심하지 않다면 일단 부종을 가라앉힌 뒤 손으로 포피를 복원시켜 치료한다. 하지만 부종이 심해 이런 방법으로 복원이 되지 않는다면 수술이 불가피하다. 수술은 우리가 흔히 아는 포경수술이라고 보면 된다. 이 환자의 경우 다행히 괴사 부위가 넓지 않아 약간의 괴사 조직만 제거하고 수술을 마쳤다. 천만다행이었다.

비단 이 환자의 경우만 그런 것은 아니다. 엉터리 속설이나 민간요법을 맹신해 잘못된 행위로 더 큰 화를 입는 경우를 드물지 않게 본다. 의학 지식이나 의학적 조치가 필요하다면 반드시 의사나 전문의와 상의하는 게 후환이 없다. 자칫 ‘호미로 막을 것을 가래로도 못 막는 상황’이 올 수도 있으니 말이다.

이형래 강동경희대병원 비뇨기과 교수

2011-09-26 2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