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ekly Health Issue] 약효 발현시간 짧고 부작용 줄인 ‘3세대 치료제’ 개발

[Weekly Health Issue] 약효 발현시간 짧고 부작용 줄인 ‘3세대 치료제’ 개발

입력 2011-12-12 00:00
업데이트 2011-12-12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비아그라로 대표되는 1세대 발기부전 치료제는 1998년 처음 출시되면서 일약 ‘남성들의 희망’으로 떠올랐다. 당시에는 초기 발기효과만으로도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특히 비아그라는 발기효과와 강직도에서 강하게 어필하며 발기부전 치료제의 대명사로 각인됐으나 복용 후 두통과 안면홍조, 코막힘과 가슴 두근거림 등에다 더러는 사물이 푸르게 보이거나 시력장애 같은 부작용이 보고되기도 했다. 전문의들은 “이런 부작용은 대부분 일시적이거나 경미해 큰 문제로 인식되지 않는다.”는 견해를 밝히기도 했으나 환자들 사이에서 부작용에 대한 경계감을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하고 있다.

이후 특성을 달리한 발기부전 치료제가 속속 개발돼 2세대 전쟁을 벌였다. ‘효과는 길게, 비용은 저렴하게’를 지향한 2세대 약제로는 시알리스·레비트라·자이데나·엠빅스 등이 꼽힌다. 이 가운데 시알리스는 비아그라보다 긴 약효 지속시간을 내세워 ‘주말약’(Weekend Pil)이라는 컨셉트로 시장을 확대했으며, 레비트라는 빠른 효과, 자이데나는 국산 신약이라는 점과 저렴한 가격을 내세웠다. 그러나 경쟁 약제들이 잇따라 저용량 제품을 출시하면서 주목도가 분산되고 있다는 게 의료계의 평가다.

발기부전 치료제의 3세대는 진정한 ‘해피 드럭’(Happy Drug)의 완성을 표방하고 있다. 발기부전 치료제의 3세대를 연 제피드(아바나필)의 경우 기존 약제의 부작용을 경감시켰으면서도 약효 발현 속도를 15분으로 앞당겨 “샤워하고 오세요.”라는 컨셉트로 주목을 받고 있다.

김세웅 교수는 “3세대 치료제는 복용 후 빠른 효과가 나타나도록 설계돼 오래 기다릴 필요가 없고, 상대적으로 부작용을 줄인 것이 특징”이라며 “해피드럭의 완성을 지향하는 만큼 향후 환자들의 이용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구강붕해정이나 필름 제형을 만드는 등 다양한 개발이 따를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심재억 전문기자 jeshim@seoul.co.kr

2011-12-12 2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