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9/27/SSI_20230927101542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9/27/SSI_20230927104138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9/27/SSI_20230927101427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9/27/SSI_20230927101102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9/27/SSI_20230927101201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9/27/SSI_20230927101609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9/27/SSI_20230927101137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9/27/SSI_20230927101222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9/27/SSI_20230927101308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9/27/SSI_20230927101353_O2.jpg)
![](https://img.seoul.co.kr/img/upload/2023/09/27/SSI_20230927101455_O2.jpg)
여러 의혹의 정점으로 의심되는 이 대표 신병을 확보해 성남시장·경기도지사 시절 이뤄진 각종 비리행위의 전모를 밝히려던 검찰의 계획엔 제동이 걸렸다.
반대로 이 대표는 흔들리는 정치적 입지를 회복하고 2년간 자신을 전방위로 압박해 온 검찰에 반격할 계기를 마련했다.
서울중앙지법 유창훈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전날 이 대표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심사) 뒤 검찰이 청구한 구속영장을 이날 기각했다.
유 부장판사는 “피의자의 방어권 보장 필요성 정도와 증거인멸 염려의 정도 등을 종합하면 불구속 수사의 원칙을 배제할 정도로 구속의 사유와 필요성이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밝혔다.
검찰은 두 차례 구속영장 청구 끝에 민주당의 ‘방탄국회’ 시도를 뚫고 영장심사 기회를 얻어냈지만, 법원에 이 대표 구속 필요성을 설득하는 데는 실패했다.
국가 의전 서열 8위인 제1야당 대표가 법원의 영장심사를 받은 것은 처음이다.
이 대표는 장기간 이어오던 단식을 24일 만에 중단하고 영장심사에 지팡이를 짚은 채 출석해 검찰의 주장을 직접 반박하고 과도한 검찰권 행사에 억울함을 피력했다.
9시간 넘는 심문을 마친 뒤 다시 7시간 동안 고심을 거듭한 끝에 유 부장판사는 이 대표 측의 불구속 수사 주장을 받아들였다.
영장이 기각됨에 따라 서울구치소에서 대기하던 이 대표는 회복 치료를 받던 녹색병원으로 돌아갈 예정이다.
극적으로 구속을 피한 이 대표는 당내 리더십을 회복하고 검찰을 향해 ‘정치 보복을 위해 검찰권을 남용했다’며 대대적인 반격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반면 검찰은 수사 정당성에 큰 타격을 입고 수사 계획을 전면 재수정해야 할 처지에 놓였다. 남아있는 관련 수사도 동력을 잃고 한동안 표류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