균형 잡은 태균 vs 눈 좋아진 승엽

균형 잡은 태균 vs 눈 좋아진 승엽

입력 2011-03-02 00:00
업데이트 2011-03-02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NPB 개막 한달 앞으로… 달 라진 두 거포

변화의 계절이다. 일본 프로야구 오릭스 이승엽과 지바 롯데 김태균. 이승엽은 지난 몇 시즌 부진했다. 김태균은 지난 시즌 하반기 급격한 추락을 경험했다. 둘 다 겨우내 많은 걸 바꿨다. 약점을 보강하고 타격 자세를 수정했다. 이제 개막은 한달도 채 안 남았다. 이미 시범경기를 치르면서 실전 단계에 돌입했다. 그동안 변화의 강·약점이 조금씩 드러나고 있다. 의도대로 된 것도 있고 불안요소도 나타났다. 확인해 보자.

이미지 확대


이미지 확대


●이승엽 포크볼 대처 아직 불안

이미 알려진 대로 중심을 극단적으로 뒤에 두고 있다. 옆에서 보면 몸이 뒤로 눕혀지는 느낌이 든다. 의식적으로 축이 되는 뒤쪽 왼다리에 중심을 남겨두고 있다. 타격 때 움직임이 있던 오른발도 완전히 고정했다.

이유는 분명하다. 일본 배터리가 이승엽을 상대하는 패턴은 일정하다. 몸쪽 높은 빠른 공으로 찌른 뒤 바깥쪽 떨어지는 변화구로 헛스윙을 유도한다. 변화구 공략을 위해서는 최대한 공을 오래 봐야 한다. 앞쪽으로 중심이 쏠리면 흘러나가는 공을 맞힐 수가 없다. 그래서 극단적인 후방 중심 타격 자세를 선택했다.

대체로 평가는 좋은 편이었다. 이승엽은 “공을 끝까지 볼 수 있게 돼 변화구에 잘 안 속는다.”고 했다. 그러나 불안요소가 드러났다. 지난 27일 시범경기 한신전에서 변화구에 약점을 다시 노출했다. 4타수 무안타 삼진 2개였다. 무엇보다 삼진 당하는 과정이 안 좋았다. 두번 다 떨어지는 포크볼에 당했다. 두 번째 삼진은 크게 헛친 뒤 한 바퀴 빙 도는 ‘발레 스윙’이었다. 아직 공 보는 훈련이 덜 된 걸로 보인다. 애초 이승엽은 투수가 던질 공을 예측해 타격하는 게스 히터였다. 현재 타격 자세가 바뀌었지만 공을 보고 대응하는 적응 훈련 기간은 모자란다. 아직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

중심이 뒤에 과도하게 남으면서 특유의 부드러운 스윙도 안 되고 있다. 폴로스로가 딱딱해졌다. 장점이던 유연한 하체 중심이동이 사라진 결과다.

거의 수평으로 원을 그리던 스윙 궤적도 퍼올리는 모습으로 변했다. 자칫 약점을 가리려다 강점이 날아갈 수도 있다.

●김태균 좋았던 때로 돌아가라

지난 시즌 하반기, 가장 큰 문제는 스윙 궤적이었다. 어퍼 스윙 형태가 됐다.

최대 장점인 찍어 내리는 간결한 스윙이 사라졌다. 복합적인 이유가 있다. 지바 롯데 타선의 균형이 무너졌다. 2번 오기노 다카시가 다치고 중심 타선은 동반 부진에 빠졌다. 그러면서 4번 김태균에게 부담이 집중됐다. 스스로 해결해야 하는 상황이 됐다. 사실 김태균은 전형적인 홈런 타자는 아니다. 질 좋은 타구가 라인드라이브 형태로 담장을 넘어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런데 이 시기 김태균은 무리하게 홈런을 노렸다. 억지로 퍼올렸다. 궤적이 위로 향하면서 스윙이 커졌다. 상·하체 밸런스가 완전히 무너졌다. 겨우내 무너진 타격 자세를 바로잡았다. 새로운 걸 시도하기보다는 가장 좋았던 때로 돌아가는 데 집중했다. 김태균은 “보여줘야 한다는 부담감을 벗었다. 짧고 정확하게 치면 장타는 나온다.”고 했다. 원래 스타일로 돌아가겠다는 얘기다.

그러면 여러 가지 문제들이 한꺼번에 해결된다. 김태균의 강점은 선구안이다. “저 정도면 휘둘러도 될 텐데…”하는 공도 꾹 참아낸다. 공 반개씩도 감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졌다. 지난 시즌 하반기엔 마음이 급해지면서 낮은 공에 계속 손이 나갔다. 상대 배터리는 바깥쪽 낮은 변화구를 스트라이크 존에 넣었다 뺐다 하며 김태균을 농락했다. 홈런을 의식하지 않아도 된다면 이런 공에 속지 않을 수 있다. 김태균은 지난달 27일 시범경기 주니치전에서 2타수 1안타 1볼넷을 얻었다. 참고 기다리는 김태균 특유의 타격 모습이었다.

박창규기자 nada@

seoul.co.kr
2011-03-02 2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