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C위원 맞춤공략해 1차 투표 올인”

“IOC위원 맞춤공략해 1차 투표 올인”

입력 2011-05-21 00:00
업데이트 2011-05-21 00:5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평창 ‘로잔 브리핑’ 이후 전략은

2018년 동계올림픽 후보 도시의 최대 승부처인 ‘로잔 브리핑’이 19일 마무리됐다.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들은 평창은 물론 독일 뮌헨, 프랑스 안시 등 후보 도시 모두 실수하거나 두드러지지 않았다고 밝혔다. 자크 로게 IOC 위원장도 “세 후보 도시 간 격차는 없다.”고 힘주어 말했다.

●지금까지 ‘막판 역전’으로 유치 실패

하지만 언론의 시각은 달랐다. AP통신 등 해외 언론들은 “여전히 평창이 선두 주자”라고 일관되게 전했다. 개최지 투표권을 쥔 IOC 위원들이 후보도시 간의 구체적인 비교 평가를 꺼린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언론이 이처럼 평창을 호의적이고 높게 평가한 것은 무척 고무적이다. 평창이 브리핑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고 판단되는 대목이다.

하지만 문제는 로잔 브리핑이 끝이 아니라는 것. 개최지 투표가 펼쳐지는 남아공 더반 총회(7월 6일)까지 ‘무려’ 50일 가까이 남았다. 얼마든지 상황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이다. 동계올림픽에 세 번째 도전하는 평창은 실제로 앞선 도전에서 줄곧 선두로 내달렸지만 결국 투표에서 모두 역전을 허용했다. 낙관은 금물이며 끝까지 최선을 다해야 한다는 뼈아픈 교훈만 남겼다. 조양호 평창유치위원장이 브리핑을 마친 뒤 “레이스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고 강조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그렇다면 평창의 남은 기간 전략은 무엇일까. 평창이 줄곧 추구한 위원들에 대한 ‘맞춤형 공략’이다. 평창은 이미 두 차례의 유치 실패를 통해 모든 위원들의 성향 등을 파악한 상태다. 위원 개인별 선호 항목을 집중 홍보하는 것.

●98명 투표예상… 과반 확보 관건

체육계는 현재 IOC 위원의 60%는 이미 표심을 정했고 30%는 부동표로 분석했다. 평창 표를 다지는 것과 함께 부동표 공략에 끝까지 소홀할 수 없다는 요지다.

여기에 1차 투표에서 승부를 걸어야 한다는 주장도 설득력이 있다. 그동안 평창은 1차투표에서 최다득표를 하고도 결선에서 모두 뒤집혔다. 1차 표결에서 탈락한 후보도시 표가 평창이 아닌 다른 도시로 쏠린 것. 따라서 1차 투표에 ‘올인’해야 한다는 얘기다.

현재 110명의 IOC 위원 가운데 한국과 독일, 프랑스 등 후보도시 위원 2명씩 6명과 IOC 위원장, 스폰서 물의로 투표권 포기를 일찌감치 선언한 데니스 오스왈드 국제조정연맹 회장 등 모두 8명이 1차 투표에 나서지 않는다. 여기에 질병 등 개인적인 사정으로 총회 때마다 4~5명의 위원이 불참한 전례가 있어 더반 투표인원은 97~98명 정도로 추정된다.

따라서 1차 투표 과반수에 해당하는 44~45표가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동계올림픽 유치를 향한 10년 평창의 꿈이 이뤄질지 관심이 집중된다.

김민수 선임기자 kimms@seoul.co.kr
2011-05-21 23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