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C “도쿄올림픽 연기 포함 논의, 4주 안에 매듭짓겠다”

IOC “도쿄올림픽 연기 포함 논의, 4주 안에 매듭짓겠다”

임병선 기자
입력 2020-03-23 06:11
업데이트 2020-03-23 08: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마스크를 쓴 일본 이와테현 가마이시 주민들이 22일 도착한 도쿄올림픽 성화를 카메라에 담느라 열중하고 있다. 오는 26일 일본 내 성화 봉송을 앞두고 9년 전 동일본 대지진 때 많은 피해를 입었던 이와테, 미야기, 후쿠시마 등 세 현을 찾고 있다. 가마이시 교도 연합뉴스
마스크를 쓴 일본 이와테현 가마이시 주민들이 22일 도착한 도쿄올림픽 성화를 카메라에 담느라 열중하고 있다. 오는 26일 일본 내 성화 봉송을 앞두고 9년 전 동일본 대지진 때 많은 피해를 입었던 이와테, 미야기, 후쿠시마 등 세 현을 찾고 있다.
가마이시 교도 연합뉴스
국제올림픽위원회(IOC)가 4주 안에 도쿄올림픽 개최에 대한 입장을 결정짓기로 시한까지 스스로 정했다.

IOC는 22일(이하 현지시간) 긴급 집행위원회를 진행한 뒤 발표한 성명을 통해 “IOC는 도쿄올림픽 조직위원회와 일본 당국, 도쿄도와 협력해 시시각각으로 변하는 세계적인 보건 상황과 올림픽에 대한 영향 평가를 완료하기 위해 (올림픽을) 연기하는 시나리오를 포함한 세부적인 논의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앞으로 4주 안에 해당 논의를 마무리할 것이라고 자신한다”고 말했다.

IOC는 “이날 집행위원회는 도쿄올림픽을 취소한다고 해서 문제가 해결되거나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점을 강조했다”면서 “취소는 의제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앞서 토마스 바흐 IOC 위원장은 지난 20일 미국 일간 뉴욕 타임스(NYT) 인터뷰를 통해 정상 개최를 추진한다면서도 “다른 시나리오를 고려하고 있다”고, 연기 가능성을 슬쩍 내비친 바 있다.

IOC는 바흐 위원장이 집행위원회 회의가 끝난 뒤 IOC의 접근 방식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편지를 선수들에게 보냈다고 전했다. 바흐 위원장은 편지에다 “사람의 생명은 올림픽의 개최를 포함한 모든 것에 우선한다”면서 “IOC는 해결책의 일부분이 되길 원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관련된 모든 사람의 건강을 보호하고 바이러스 억제에 기여하는 것을 우리의 주된 원칙으로 삼았다”고 알렸다.

그는 “다섯 대륙의 많은 선수와 각국의 국가올림픽위원회(NOC), 종목별 국제연맹(IF)이 표현해온 희망이 실현될 것”이라면서 “이 어두운 터널의 끝에는 올림픽 성화가 불타고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IOC의 전향적인 태도 변화에 환영 일색이다. 앤드루 파슨스 국제패럴림픽위원회(IPC) 위원장은 “연기를 포함한 도쿄올림픽·패럴림픽의 여러 시나리오를 검토하겠다는 IOC의 결정을 전폭 지지한다”고 밝혔다. 국제육상경기연맹(IAAF)은 “도쿄올림픽 연기를 위한 IOC의 논의를 환영한다”고 발표했다.

나이젤 허들스턴 영국 체육장관은 “IOC가 도쿄올림픽 연기를 심각하게 검토하는 것은 옳은 일”이라며 “선수, 팬, 관계자들의 건강과 안전은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휴 로버슨 영국올림픽위원회 위원장은 “도쿄올림픽 연기와 관련한 여러 옵션을 검토하기로 한 IOC 집행위의 결정을 환영한다”면서도 “여전히 중대한 불투명성에 직면한 선수들을 위해 IOC가 신속하게 결정하길 촉구한다”고 말했다.

올림픽위원회(IOC)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라 올 7~9월 예정된 도쿄올림픽·패럴림픽의 연기를 전제로 향후 4주 안에 관련 논의를 마무리하겠다고 밝힌 가운데 일본 국민의 70%가량이 연기를 지지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편 요미우리 신문이 지난 20~22일 전국의 18세 이상 남녀 1077명(답변자 기준)을 대상으로 벌여 23일 공개한 전화 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도쿄올림픽·패럴림픽에 대해 ‘연기하는 쪽이 좋다’는 의견이 69%로 가장 많았다. 예정대로 개최하는 것이 좋다는 답변은 17%, 취소해야 한다는 의견은 8%에 그쳤다.

임병선 기자 bsnim@seoul.co.kr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