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일팀 0-8패, 머리 감독이 말하는 패인을 들어보니

단일팀 0-8패, 머리 감독이 말하는 패인을 들어보니

최병규 기자
입력 2018-02-11 10:46
업데이트 2018-02-11 10:4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8개팀 중 체격 가장 열세 .. 평균 신장 160cm

남북 여자아이스하키 단일팀이 평창동계올림픽 본선 8개 출전팀 중 체격에서 가장 열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미지 확대
여자아이스하키 남북단일팀 선수들이 지난 10일 스위스와 평창동계올림픽 B조 조별리그 1차전을 펼치고 있다. 2018.2.10 연합뉴스
여자아이스하키 남북단일팀 선수들이 지난 10일 스위스와 평창동계올림픽 B조 조별리그 1차전을 펼치고 있다. 2018.2.10 연합뉴스
각 팀 로스터를 살펴보면 단일팀의 평균 키는 160㎝로 이번 대회에 참가한 8개 팀 가운데 가장 작았다. 전날 단일팀의 역사적인 올림픽 첫 경기에서 0-8 대패를 안기고 잔칫상에 재를 뿌린 스위스(168㎝)와 비교하면 8㎝나 작다.

출전팀 중에서 최장신은 올림픽 5회 연속 우승에 도전하는 캐나다(172㎝)다. ‘러시아 출신 올림픽 선수(OAR)’가 170㎝로 그 뒤를 이었다. 체형이 비슷한 일본도 163㎝로 단일팀보다는 크다.

평창올림픽 여자 아이스하키는 총 8개 팀이 출전해 상·하위 그룹으로 나뉘어 조별리그를 치른다. 상위 그룹인 A조(미국, 캐나다, 핀란드, OAR)에 속한 4개팀은 모두 평균 신장이 168㎝ 이상이었다.

B조(단일팀, 스위스, 스웨덴, 일본)는 스위스와 스웨덴이 나란히 168㎝로 가장 컸고, 일본에 이어 단일팀이 가장 작았다.

신장의 열세는 체중과 비례했다. 평균 체중이 50㎏대인 팀은 단일팀(58㎏)과 일본(59㎏), 두 팀밖에 없다. 캐나다와 OAR는 나란히 70㎏을 기록했고, 스웨덴(68㎏), 미국·핀란드(이상 67㎏), 스위스(63㎏)가 뒤를 이었다.

평균 연령에서도 단일팀은 22세로 OAR와 함께 최연소였다. 캐나다가 27세로 팀 평균 나이가 가장 높다.

새러 머리(30·캐나다) 감독은 “우리는 (지난 4일 평가전에서) 스웨덴과 좋은 경기를 했다. 일본과도 지난해 동계아시안게임에서 잘 싸웠다”면서 “다음 두 경기에서는 기회가 있다고 확신한다. 스위스전의 패배는 잊고 앞으로 나아가야 한다. 무엇보다 긴장감을 털어내야 한다”고 말했다.

단일팀은 12일에는 스웨덴, 14일에는 일본과의 조별리그 경기를 남겨두고 있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