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소비자원 생활지표
월 소득이 750만원을 넘는 이들 10명 중 8명이 스스로를 중산층으로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이 많아도 높은 교육비와 주택구입비 등 고정비용의 부담으로 자신의 지출에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연령별로는 40대가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비율이 71.9%로 가장 많았다. 반면 60세 이상은 42.6%만이 중산층이라고 답했다. 특히 자녀가 독립한 노인가족은 절반 이상이 스스로를 하류층이라고 했다.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중위소득의 50~150%)을 반영하면 중산층은 월 소득 250만~450만원이다. 하지만 월 소득 450만~750만원인 계층도 87.8%가 자신을 중산층이라고 했다. 실제 중산층인 250만~450만원 계층은 이보다 적은 69.9%가 중산층이라고 답했다.
생애주기를 볼 때 체감 중산층이 가장 많은 경우는 취학하지 않은 자녀를 둔 이들로 76.8%였다. 취학한 자녀를 둔 경우가 72.3%로 뒤를 이었고, 신혼부부(67.4%), 미혼자녀와 동거(65.9%), 독신가구(55.6%), 결혼한 자녀와 동거(55.3%), 자녀가 독립한 노인가족(43.9%) 순이었다. 자녀가 독립한 노인가족은 하류층으로 느끼는 이들이 51%로 절반을 넘었다.
지난해 소득이 2012년보다 감소한 이들은 32.2%로 늘어난 이들(24.6%)보다 많았다. 43.1%는 변함이 없었다고 응답했다.
소비가 늘어난 이들의 원인을 연령별로 볼 때 20대와 30대는 소득증가가 각각 26.5%, 20.9%로 가장 많았다. 40대와 50대는 자녀 교육비 지출 증가가 33.9%, 24.1%로 가장 큰 이유였고, 60세 이상은 가족의 중증질환 발생이 15.7%로 가장 많았다. 소비를 줄인 이들을 연령별로 보면 20대와 30대는 물가인상이 가장 큰 이유였고, 30대 이상은 모두 소득 감소가 원인이었다.
전성인 홍익대 경제학부 교수는 “우리나라는 적은 숫자의 부자가 부를 독식하는 경향이 있어, 통계상 상류층도 상대적으로 본인을 중산층이라고 생각하는 것 같다”면서 “사교육비와 주택구입비의 비중도 너무 높아 이를 제외하면 자신의 소비에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경주 기자 kdlrudwn@seoul.co.kr
2014-01-24 1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