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수출 주력업종인 반도체와 자동차 등 12대 수출 주력업종 대기업들은 올 하반기 큰 폭의 수출감소세가 누그러져 수출 하락폭이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12대 수출주력업종 150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2023 하반기 수출전망’ 설문조사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응답 기업들은 올 하반기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3%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최근 10% 안팎의 감소세를 보인것과 비교해 감소세가 다소 진정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일반기계 -4.6%, 석유화학·석유제품 -3.2%, 전기·전자(반도체, 디스플레이, 컴퓨터, 이동통신기기) -1.3%, 철강 -0.6% 등으로 나타났다.
수출 감소 전망 원인으로는 주요 수출 대상국의 경기 부진(35.7%)과 미중 패권 경쟁에 따른 공급망 애로(21.4%), 원자재 가격 하락 등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18.6%) 등이 꼽혔다. 반면 수출 증가를 전망한 원인으로는 주요 수출 대상국의 수요개선(60%)과 생산 및 물류 차질 해소(21.3%) 등이 꼽혔다.
응답 기업의 39.3%는 올 하반기 수출 채산성(기업이 수출로 벌어들이는 이익의 수준)이 악화할 것이라고 답했다. 45.4%는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했고 15.3%는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채산성 악화 전망이 많은 업종은 전기·전자(50%), 일반기계(44.8%), 석유화학·석유제품(42.4%), 바이오헬스(42.3%) 등이었다. 채산성 악화 요인은 원유, 광물 등 원자재 가격 상승(37.3%)과 금리 인상 등으로 인한 이자 비용 상승(22%), 전기·가스·수도 등 공공요금 상승(16.9%) 등이 꼽혔다.
올 하반기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한 기업은 대응 전략으로 공장운영비·판관비 등 비용 절감(44.3%), 수출시장 다변화(27.1%), 공급망 재편(15.7%) 등을 검토 중이라고 대답했다.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의 우선순위로는 원자재 수급 관련 세제 지원(44%)을 가장 많이 꼽았다. 공급망 애로 해소를 위한 외교적 노력 강화(23.3%), 수출물류 차질 방지를 위한 지원(12%) 등을 희망했다.
한편 기업들은 하반기 원/달러 환율 최고가를 평균 1355.9원으로 전망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1000대 기업 중 12대 수출주력업종 150개 기업을 대상으로 한 ‘2023 하반기 수출전망’ 설문조사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응답 기업들은 올 하반기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1.3%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최근 10% 안팎의 감소세를 보인것과 비교해 감소세가 다소 진정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2023년 하반기 업종별 수출 증감률 전망>
<2023년 하반기 업종별 수출 증감률 전망>
업종별로 살펴보면 일반기계 -4.6%, 석유화학·석유제품 -3.2%, 전기·전자(반도체, 디스플레이, 컴퓨터, 이동통신기기) -1.3%, 철강 -0.6% 등으로 나타났다.
수출 감소 전망 원인으로는 주요 수출 대상국의 경기 부진(35.7%)과 미중 패권 경쟁에 따른 공급망 애로(21.4%), 원자재 가격 하락 등에 따른 수출단가 하락(18.6%) 등이 꼽혔다. 반면 수출 증가를 전망한 원인으로는 주요 수출 대상국의 수요개선(60%)과 생산 및 물류 차질 해소(21.3%) 등이 꼽혔다.
응답 기업의 39.3%는 올 하반기 수출 채산성(기업이 수출로 벌어들이는 이익의 수준)이 악화할 것이라고 답했다. 45.4%는 지난해와 비슷할 것으로 전망했고 15.3%는 개선될 것으로 내다봤다.
채산성 악화 전망이 많은 업종은 전기·전자(50%), 일반기계(44.8%), 석유화학·석유제품(42.4%), 바이오헬스(42.3%) 등이었다. 채산성 악화 요인은 원유, 광물 등 원자재 가격 상승(37.3%)과 금리 인상 등으로 인한 이자 비용 상승(22%), 전기·가스·수도 등 공공요금 상승(16.9%) 등이 꼽혔다.
올 하반기 수출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감소할 것이라고 전망한 기업은 대응 전략으로 공장운영비·판관비 등 비용 절감(44.3%), 수출시장 다변화(27.1%), 공급망 재편(15.7%) 등을 검토 중이라고 대답했다.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정부 정책의 우선순위로는 원자재 수급 관련 세제 지원(44%)을 가장 많이 꼽았다. 공급망 애로 해소를 위한 외교적 노력 강화(23.3%), 수출물류 차질 방지를 위한 지원(12%) 등을 희망했다.
한편 기업들은 하반기 원/달러 환율 최고가를 평균 1355.9원으로 전망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