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명절 OTT 볼 때 폐쇄자막 켜 보세요

명절 OTT 볼 때 폐쇄자막 켜 보세요

김민석 기자
김민석 기자
입력 2023-09-30 10:00
업데이트 2023-09-30 1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美, 비장애인 폐쇄자막 사용 50% 달해
TV 평판화… 작아진 스피커 뒤로 숨겨
기술 발전할수록 대사 전달 어려워져
모바일 기기·OTT 고려한 음향 믹싱도
짬 내서 볼 때 음소거해도 내용 전달

이미지 확대
폐쇄자막 아이콘.
폐쇄자막 아이콘.
인터넷동영상서비스(OTT)를 이용하다 보면 동영상 콘텐츠에서 ‘CC’ 아이콘을 종종 볼 수 있다. ‘클로즈드 캡션’의 줄임말이며, 우리말로 ‘폐쇄자막’, ‘폐쇄형 자막’이라고 부른다. 이는 ‘배리어 프리’, 즉 누구에게도 콘텐츠 감상에 장벽이 없게 하는 정책의 일환이다. 청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도록, 필요한 사람만 별도의 단말이나 디지털 안경 등을 통해 볼 수 있게 만든 자국어 자막이다. 외국어 영화에 삽입되는 자막과 달리 효과음이나 배경음악의 분위기 등도 글자로 표시된다.

그런데 최근 청각장애인이 아닌데도 폐쇄자막을 켜고 콘텐츠를 보는 사용자가 많아졌다. 이는 세계적인 현상으로, 뉴욕타임스(NYT)의 보도에 따르면 폐쇄자막을 켜고 영어 콘텐츠를 감상하는 미국 사용자는 전체의 50%에 달하며, 대부분 젊은 층이다. 자막을 선별적으로 제공해 콘텐츠를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같은 곳에서 함께 감상할 수 있게 만들어진 게 폐쇄자막인데, 오히려 자막을 장애인과 비장애인이 함께 쓰는 셈이다.

조사에 응한 사용자들이 폐쇄자막을 사용하는 가장 큰 이유는 ‘대사를 알아듣는 데 어려움을 느껴서’였다. NYT는 대사 전달이 잘 되지 않는 이유는 역설적이게도 정보통신기술(ICT) 발전에 있다고 분석했다. 음성만 도드라지게 만드는 첨단 기술도 적용돼, 더욱 잘들려야 하는데, 오히려 갈수록 대화 내용을 알아듣기가 어려워진다는 것이다.

TV는 더 얇아지고 디자인도 평판에 가까운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그런데 이는 음성 전달엔 불리한 조건이다. TV 디자인 유행은 TV 스피커를 뒤로 숨기는 쪽으로 흐르고 있는데, 역시 대사 전달을 방해하는 요인이다.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PC 같은 모바일 기기로 콘텐츠를 소비하는 비중이 부쩍 커졌는데 이런 기기들은 스피커가 아주 작다. OTT가 주요 콘텐츠 소비 경로가 되면서 대형 스크린보다는 이런 모바일 기기를 염두에 두고 음향을 믹싱하는 제작사가 많아졌다. 다양한 주파수대 소리를 풍부하게 전달할 수 있는 강력한 스피커 시스템을 고려한 음향과 차이가 날 수밖에 없다. 더구나 실시간으로 끊김 없이 스트리밍하기 위해 콘텐츠를 경량화 하는 과정에서 음향도 압축되는 경향이 있다.

기술적인 이유 외에도 대중교통 이동 중이나 잠시 시간이 날 때 잠깐씩 콘텐츠를 소비하는 형태가 늘어난 것도 폐쇄자막을 사용하는 이유가 된다. 헤드폰을 착용하지 않고 음소거 상태로도 콘텐츠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폐쇄자막은 대사 속의 비속어나 감탄사까지 그대로 표시해 줘, 소리를 듣지 못해도 창작자가 의도한 느낌을 전달받을 수 있다. ‘빗방울이 유리창에 부딪히는 소리’, ‘한숨 짓는 소리’, ‘점점 커지는 발걸음 소리’ 등 언어가 아닌 소리도 알려줘 이야기 흐름을 쉽게 따라갈 수 있게 한다.

국내에서 서비스 중인 OTT 중 폐쇄자막에 가장 적극적인 플랫폼은 넷플릭스다. 거의 모든 한국어 콘텐츠에 폐쇄자막을 선택할 수 있다. 넷플릭스 본사가 있는 미국의 법이 이런 배리어프리 장치를 의무화하기 때문이다. 미국은 TV나 OTT 콘텐츠에 폐쇄자막을 필수 제공하도록 하고 위반하면 벌금을 물린다. 반면 국산 OTT들은 폐쇄자막을 제공하는 콘텐츠 수를 늘리고는 있지만 아직 각사가 자체 제작한 오리지널 콘텐츠나 ‘기생충’처럼 세계적인 대작들 중심이다.

지난 7월 국내에서도 OTT 콘텐츠에 폐쇄자막 제공 ‘노력’을 의무화하는 법안이 통과됐다. 이에 OTT들이 더 적극적으로 폐쇄자막을 도입해야 하지만 간단한 문제는 아니다. OTT 사업자들이 각자 제작을 해야 하는데 비용 문제가 가장 크다. 폐쇄자막 제작 비용이 1분당 3000원부터 1만원까지 들어가는데 최소 비용으로만 뽑아도 1시간 30분짜리 영화 한 편에 27만원이 들어가는 셈이다. 모든 콘텐츠에 적용되면 수백억원이 소요된다.

저작권 문제도 간단치 않다. 자막을 만들기 위해 원작자 허가를 받아야 하는데, 관객의 자유로운 해석을 원하는 원작자는 종종 폐쇄자막 제작에 동의하지 않는 것으로 전해진다.
김민석 기자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