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씨줄날줄] 가사부담/주병철 논설위원

[씨줄날줄] 가사부담/주병철 논설위원

입력 2011-09-28 00:00
업데이트 2011-09-28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생활을 했던 시기는 고려시대였다. 당시에는 처가살이가 일반적이었다. 결혼식을 처가집에서 하고 결혼 후에도 일정기간 사위가 처가살이를 했다. 남편이 죽어 과부가 됐을 경우에도 시집살이를 하지 않고 친정에 들어가 생활했다. 재산을 상속할 때도 아들, 딸 구분 없이 균등상속을 했다.

삼강오륜(三綱五倫) 등 유교문화가 사회를 지배하던 조선시대에는 부부유별(夫婦有別)이라 해서 남편과 아내로서의 본분과 역할이 달랐다. 가부장제도로 호주는 남성만 될 수 있었다. 제사도 그랬다. 그런 만큼 남녀 간의 가사노동도 확연히 달랐던 것 같다. 의식주와 관련된 게 대표적이다. 조선 후기 학자 이덕무는 “음식을 마련하는 일은 오직 부인이 맡아 하는 일이다.”라고 했다. 여성들은 음식만들기를 담당했다는 것이다. 남성들은 식료를 공급하고 조달하는 데 그쳤다.

양반가의 자녀양육은 유모나 소비(小婢)에 의해 이뤄졌는데, 양반들은 유모를 혼수로 준비했다고 한다. 세종실록에는 “새 며느리가 처음으로 시부모에게 인사를 올리는 날… 젖어미 1명, 몸종 2명, 남종 10명을 넘지 못하게 할 것”이라는 기록이 나온다. 자녀의 올바른 심성을 기르고 품행을 가르치는 양육은 어머니에게 있었다. 우암 송시열은 ‘계녀서’에서 “딸자식은 어머니가 가르치고 아들자식은 아버지가 가르친다고 하거니와 아들자식도 글을 배우기 전에는 어머니에게 있으니….”라고 상세히 기술돼 있다.

현대에는 여성과 남성이 맞벌이 가정을 이루면서 역할 갈등이 적지 않다. 우리나라는 1997년 외환위기 이후 여성들의 사회 참여와 취업률이 높아지면서 가사노동이 어느 정도 분담되고 있다. 부부 대다수가 직장을 갖고 있는 중국은 가사 분담이 정착된 지 오래됐고, 미국에서는 맞벌이 부부의 소득과 출퇴근 시간 등에 따라 가사노동을 정확히 나눈다.

얼마 전 설문조사 전문업체의 조사에 따르면 우리나라도 가계 소득이 높을수록 남편이 집안일을 많이 한다고 한다. 맞벌이 부부의 가사 분담 비중이 바뀌고 있다는 얘기다. 10년 전쯤 가사노동의 가치가 전업주부의 가사노동에 대한 기회비용, 집안의 일을 전문가한테 맡겼을 때 드는 비용, 전업주부가 직접 했을 때 드는 비용 등을 고려해 월평균 90만~120만원이란 분석이 나온 적이 있다. 지금은 물가상승률 등을 감안하면 이보다 많을 터인데, 부부 가운데 돈을 적게 벌고, 시간적 여유가 있는 쪽이 가사노동을 더 많이 하는 게 대세가 될 것 같다.

주병철 논설위원 bcjoo@seoul.co.kr
2011-09-28 31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