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론] 명장과 용졸은 국민이 만든다/장공자 충북대 명예교수·전 국제정치학회장

[시론] 명장과 용졸은 국민이 만든다/장공자 충북대 명예교수·전 국제정치학회장

입력 2011-10-07 00:00
업데이트 2011-10-07 00:2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옆집의 노부부가 싸우는 데 흥미를 느끼는 것은 왜일까? 일찍이 영국의 철학자 스펜서는 사람에게는 싸움을 즐기는 호투성(好鬪性)이 생래적으로 있다고 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격렬한 경기를 보면서 관중은 열광하고, 판정승보다는 통쾌한 KO승을 거둔 승자에게 우레와 같은 박수를 보내는지도 모른다.

이미지 확대
장공자 충북대 명예교수·전 국제정치학회장
장공자 충북대 명예교수·전 국제정치학회장
이 같은 호투성이 그대로 인류역사에 투영된 것이 전쟁이 아닌가 한다. 1940년 미국의 카네기 국제평화단이 발간한 ‘세계의 전쟁’이란 글에, 기원전 1496년부터 기원후 1861년에 이르는 3357년 동안 평화기간은 227년이고, 전쟁기간은 3130년이었다고 한다. 이 통계숫자로 보면, 1년간의 평화에 대하여 13년 동안은 전쟁을 하고 있었다는 계산이 된다.

이 같은 사실이 말하는 것은 인간의 심성이 변하지 않는 한 전쟁은 계속될 수밖에 없고, 변화가 있다면 다만 전쟁의 양상이 달라질 뿐이라는 점이다. “평화를 바란다면, 전쟁에 대비하라.”라는 로마제국의 귀족 출신 명장이자 역사학자 베지티우스의 말을 빌리지 않더라도, 우리는 나라의 독립과 번영을 위해서는 언제나 전쟁을 이해하고 대비하지 않으면 안 된다.

흔히 현대전은 첨단과학기술에 의해 그 성패가 결정된다고 하면서 인적인 요소를 경시하는 경향, 예컨대 백전백승의 명장(名將)과 임전무퇴의 용졸(勇卒)은 과거지사라고 말하는 사람도 없지 않다.

그러나 전쟁을 수행하는 힘, 즉 전투력은 사람이 장비와 무기체계를 적절히 운용함으로써 발휘된다는 것은 불변의 진리다. 사람이야말로 전투력을 발휘하는 주체라는 점에서 그렇다.

작금의 첨단기술에서 컴퓨터 이상은 없다. 그러나 컴퓨터는 다름 아닌 인간의 두뇌를 흉내 낸 것에 불과하다. 들은 바에 의하면, 인간 두뇌를 모사하는 데 소요되는 전자 세포만도 최소한 100억개나 되고, 그 부피만도 350㎦인 데다가 그것을 작동하는 데 필요한 전력은 무려 10억 와트에 이른다고 한다. 이처럼 인간의 두뇌란 현대의 첨단기술로도 쉽게 흉내 낼 수 없을 만큼의 능력을 갖추고 있다.

그러므로 전쟁에서는 장비와 무기체계와 같은 외형적인 전력도 중요하지만, 그것을 운용하는 사람의 질적인 향상은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하겠다.

컴퓨터와 바둑을 둬 보면 한 번은 사람이 진다고 한다. 그러나 동급의 경우, 그 다음부터는 사람이 백전백승한다는 것이다. 이것이 컴퓨터가 가지는 한계라는 얘기다. 앞으로 컴퓨터 바둑이 발전해서 몇 단이 된다고 해도 이창호나 조치훈은 절대로 이기지 못할 것이다. 또 이기는 것도 바람직하지 않다. 왜냐하면, 그렇게 되는 날부터 인간은 컴퓨터의 명령에 따라 움직이며 살아야 하는 슬픈 운명에 놓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런 시대는 영원히 오지 않을 것이다. 적어도 인간이 인간 되기를 포기하지 않는 한 말이다.

지금 우리나라는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도 더 많은 명장과 용졸로 구성된 군을 필요로 하고 있다. 호전적인 불량국가와 대치하고 있는 특수한 상황이나 병력의 규모 그리고 가공스러운 장비와 무기체계를 고려할 때 더욱 그렇다. 그러므로 명장과 용졸이 하나가 되어 어떠한 형태의 전쟁에서도 승리할 수 있는 전투능력(fighting capacity)을 극대화하지 않으면 안 될 것이다. 전투능력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일차적으로는 군의 질적·양적인 군비가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중요한 건 군사력을 포함한 경제력, 정치력, 외교력 등을 결합시킴으로써 종합적인 결집력(국력)을 확대 재생산하는 국민적 노력이라 하겠다. 비록 이 같은 노력이 있다고 하더라도 군을 따듯한 눈으로 바라보는 국민적 애정이 없이는 어떤 명장과 용졸도 생겨날 수 없다. 그러므로 역전의 모든 명장과 용졸은 국민이 만들어 내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이것이 오늘을 살고 있는 우리에게 주는 역사적 교훈이라 하겠다.
2011-10-07 31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