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여기] 체크카드 수수료의 관행/전경하 경제부 기자

[지금&여기] 체크카드 수수료의 관행/전경하 경제부 기자

입력 2011-11-26 00:00
업데이트 2011-11-26 00: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전경하 경제부 차장
전경하 경제부 차장
2008년 리먼 브러더스 사태가 발발했을 때 영국에 막 거주를 시작했다. 대형 할인점에서 쇼핑을 하고 계산대에 서면 계산원이 캐시백을 원하냐고 물었다.

한국에서 쌓아뒀던 포인트가 영국으로 이전됐을 리 만무하고, 행여 혼란한 시기에 낯선 곳에서 피해를 입을까봐 늘 ‘아니오’라고 외쳤다. 한달쯤 지나 계속되는 질문에, 용기를 내 마음씨 좋아 보이는 중년의 계산원을 잡고 뭐냐고 물어봤다.

거기서 뜻하는 캐시백은, 체크카드로 물건을 살 때 은행에서 돈이 나오니까 현금을 원하면 같이 계산해서 주는 인출 서비스였다. 그 뒤로 나는 캐시백 애용자가 됐다. 편했으니까. 은행 업무시간 지났다고 수수료를 내야 할 까닭도 없었으니까.

영국의 대형 할인점들은 왜 그 서비스를 권했을까. 우리나라처럼 해당 금액의 일정 비율을 수수료로 낸다면 그 서비스를 해줄수록 본인들이 내는 수수료가 많아질 텐데…. 체크카드 수수료가 금액 대비 정률이 아니었다는 추론이 가능하다.

체크카드는 내 통장에서 바로 돈이 빠진다. 전산망을 이용하는 것은 알겠지만 왜 이용료가 사용금액의 일정 비율이 돼야 하는 걸까? 전산망이 물건값을 차별할 리는 없는데 말이다.

구간을 정해놓고 구간별 정액 수수료를 매겨 보면 어떨까. 현재 수수료 1%라면 1000원짜리를 팔 때마다 가맹사업자가 10원을 카드사에 내는 셈인데, 인출 한 건당 10원이나 20원을 30만원까지 적용하면 된다. 인터넷쇼핑에서 30만원 이상 결제할 경우 본인인증 절차를 강화하는 것처럼 말이다.

900조원에 육박하는 가계부채가 경제를 위협하는 가장 큰 위험이라면 체크카드 소비를 더욱 늘려야 한다. 내년부터 체크카드 소득공제를 사용금액의 30%로 신용카드보다 높였다지만 그건 자기 소득의 25% 이상을 쓴 다음의 이야기다. 체크카드를 활성화하려면 신용카드와는 다른 잣대를 들이대야 한다.

경제활동 과정에서 관행처럼 해 오던 일이 많다. 금융이나 산업 모두 마찬가지다. 관행에 ‘왜’라는 질문을 던져보자. 그러면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이익이 되는 방법을 찾을 수도 있다. 그렇지 않더라도 최소한 현 상황에 대한 이해도를 높일 수 있다.

lark3@seoul.co.kr
2011-11-26 26면
많이 본 뉴스
‘민생회복지원금 25만원’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22대 국회에서 전 국민에게 1인당 25만원의 지역화폐를 지급해 내수 경기를 끌어올리는 ‘민생회복지원금법’을 발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민주당은 빠른 경기 부양을 위해 특별법에 구체적 지원 방법을 담아 지원금을 즉각 집행하겠다는 입장입니다. 반면 국민의힘과 정부는 행정부의 예산편성권을 침해하는 ‘위헌’이라고 맞서는 상황입니다. 또 지원금이 물가 상승과 재정 적자를 심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지원금 지급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