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똑 우리말] ‘주십시오’와 ‘주십시요’/오명숙 어문부장

[똑똑 우리말] ‘주십시오’와 ‘주십시요’/오명숙 어문부장

오명숙 기자
입력 2021-02-10 16:24
업데이트 2021-02-11 02: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설 연휴 5인 이상 집합 금지에도 주요 관광지의 숙박 예약이 일찌감치 끝났다고 한다. 방역 당국은 명절 이후 코로나19의 재확산을 막기 위해 연휴 기간 이동을 자제해 줄 것을 호소했다. “귀성이나 친지 방문, 여행을 자제해 주십시오.” “5인 이상 모임을 하지 마십시오.”

위와 같은 당부형 문장에서 주의해야 할 부분이 있다. ‘주십시오’, ‘마십시오’의 표기이다. 앞 모음 ‘이’의 영향을 받아 마지막 어미가 ‘요’로 소리 나기 때문에 ‘주십시요’, ‘마십시요’로 쓰는 경우가 있는데 문장을 끝내는 종결어미는 ‘-요’가 아니라 ‘-오’이다. 하십시오체뿐 아니라 “도와주시오” 같은 하오체 문장도 마찬가지다. ‘-요’는 사물이나 사실 따위를 열거할 때 쓰이는 연결어미다. “이것은 말이요, 저것은 소다”처럼 사용한다.

“돈이 없어요”, “잠이 안 와요”에서의 ‘요’는 뭘까. 어미 뒤에 붙어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다. 연결어미 ‘-요’나 종결어미 ‘-오’는 생략할 수 없지만 보조사 ‘요’는 없어도 말이 된다. “돈이 없어”, “잠이 안 와”라고 해도 무방하다.

‘-오’와 ‘-요’를 헷갈리게 하는 요소는 또 있다. 바로 해요체다. 하십시오체와 하오체 자리에 두루 쓰이면서 혼란을 부른다. “말씀하세요”에서 ‘-세요’는 ‘-시어요’의 준말이다. ‘-시-’는 선어말어미고 ‘-어’는 종결어미다. 이들 어미 뒤에 붙은 ‘요’는 존대의 뜻을 나타내는 보조사다. “말씀하셔요”도 마찬가지로 “말씀하십시오”와는 구별해야 한다.

oms30@seoul.co.kr
2021-02-11 29면
많이 본 뉴스
최저임금 차등 적용, 당신의 생각은?
내년도 최저임금 결정을 위한 심의가 5월 21일 시작된 가운데 경영계와 노동계의 공방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올해 최대 화두는 ‘업종별 최저임금 차등 적용’입니다. 경영계는 일부 업종 최저임금 차등 적용을 요구한 반면, 노동계는 차별을 조장하는 행위라며 반대하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찬성
반대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